- 발음
- [던지다

- 활용
- 던지어[던지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으로 …을】
- 「001」((‘…에/에게’ 대신에 ‘…을 향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손에 든 물건을 다른 곳에 떨어지게 팔과 손목을 움직여 공중으로 내보내다.
- 연못에 돌을 던지다.
- 포수에게 공을 던지다.
- 그는 방구석을 향해 털모자를 던지고 나갔다.
- 방 안으로 가방을 던지다.
- 형은 화가 났는지 창밖으로 기타를 던져 버렸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더디다(15세기~19세기)>더지다(17세기~19세기)>던지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던지다’의 옛말인 ‘더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부터 ‘ㄷ, ㅌ’ 뒤에 오는 ‘ㅣ’ 모음의 영향으로 ‘ㄷ, ㅌ’이 ‘ㅈ, ㅊ’으로 바뀌는 구개음화가 일어났는데 ‘더디다’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그리하여 17세기에 ‘더지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19세기까지 ‘더디다’와 ‘더지다’가 공존하였다. 이후 19세기에 ‘더지다’에 ‘ㄴ’이 첨가되어 ‘던지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더디다, 더지다, 던지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던져 마름쇠
- 마름쇠는 누구나 던지면 틀림없이 꽂히고 한쪽은 위로 솟는 데서, 어떤 일에 별로 숙달되지 않은 사람도 실수 없이 능히 할 수 있는 일인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