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받따발음 듣기]
활용
받아[바다발음 듣기], 받으니[바드니발음 듣기], 받는[반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6」공중에서 밑으로 떨어지거나 자기 쪽으로 향해 오는 것을 잡다.
날아오는 공을 한 손으로 받다.
나무에서 떨어지는 열매를 받다.

관련 어휘

반대말
던지다

역사 정보

받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받-’은 15세기에서부터 나타나 그대로 현재까지 이어진다. 15세기에는 ‘받-’에 문장의 목적어나 여격 명사구를 높이는 선어말 어미인 ‘--’이 연결된 ‘받-’이 쓰였으나 이 단어에는 ‘받치다’의 의미로 많이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받다, 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받다)
受는 받다 논 마리니 ≪1459 월석 4:59ㄱ
그 갑 받디 아니며 毗舍浮佛이 世예 現在 제 ≪1461 능엄 5:68ㄱ
16세기 : (받다)
크니 쟈그니 모도와 언메나 갑슬 받고져 다 ≪1510년대 번노 하:10ㄱ
오직 수울 받올 제 절디 말 거시라 ≪1518 여씨-존 25ㄴ
大凡十聖을 念온 사 이 願의 힘을 받와 반기 蓮荒胎 中에 가나 ≪1579 선가 44ㄴ
닐웨 밤 닐웨 니며 곳 라 노코  받고 이 진언을 싀워셔 고 ≪16세기 장수 42ㄴ
17세기 : (받다)
나흔 盤으로 魚와 肉을 받들고 나흔 盤으로 米식과 麵食을 받들고1632 가언 10:17ㄴ
朕이 젓와 절야 命을 받고 믈러 각니 ≪17세기 여훈 상:8ㄱ
18세기 : (받다)
親히 藥을 골라 맛보아 받고1737 어내 1:43ㄱ
燭을 켜며 燈을 받들러 안즐 자리 安排호 ≪1737 여사 2:32ㄴ
일쳬 즁 위야 부텨 위녁을 받와 이 일을 약키 니로리라 ≪1762 지장 중:17ㄴ
宴享을 바로 乾物로 받기 事體 얻더오매 排床으로 入送게 라 ≪1790 인어 1:3ㄱ
19세기 : (받다,다)
쥬의 셩춍과 쥬의 긍련심을 받다 말이오 ≪1892 성직 9:24ㄴ
편지 받아 보니 반갑다 ≪1895 국한 329
이졔 치믈 만히 괘라 고 곳쳐 일등의 히니 ≪1852 태상 3:11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