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루다

- 활용
- 이루어[이루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어떤 대상이 일정한 상태나 결과를 생기게 하거나 일으키거나 만들다.
- 잠 못 이루는 밤.
- 문전성시를 이루다.
- 장관을 이루다.
- 조화를 이루다.
- 대비를 이루다.
- 중심을 이루다.
- 작은 빗방울이 모여 내를 이룬다.
- 그들은 화목한 가정을 이루었다.
- 여름에는 무성한 오곡이 초원을 이루고 겨울에는 하얀 눈이 빙원을 이루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잠이 오지 않았다. 사람은 편안한 잠을 이루기 위해서라도 창자를 비워 두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나는 새삼 깨달았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 일에는 반드시 근원이 있는 법인데 마치 강물의 근원이 깊은 산골짜기에 있는 것처럼 강물을 이루는 것은 골짜기의 작은 물줄기 아니겠소?≪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일우다(15세기~19세기)>이루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루다’의 옛말인 ‘일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일우다’는 “이루어지다”의 의미를 갖는 동사 ‘일-’과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것이다. ‘일-’의 종성 ‘ㄹ’이 연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일우다’에서 ‘우’의 초성 ‘ㅇ’은 후두 유성마찰음 [ɦ]임을 알 수 있다. 16세기 이후 후두 유성마찰음 ‘ㅇ’이 사라지면서 제1음절 종성 ‘ㄹ’이 연철 표기되어 ‘이루다’가 되었는데, 문헌상으로는 18세기에 비로소 ‘이루다’의 예가 나타난다. 한편 동사 ‘일-’에 사동접미사 ‘-오-’가 결합한 ‘일오다’ 형태도 15세기부터 ‘일우다’와 공존하였는데, 19세기 이후로는 사라졌다. |
---|---|
이형태/이표기 | 일우다, 일오다, 이루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