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모이다

- 활용
- 모이어[모이어


- 품사
- 「동사」
- 「001」한데 합쳐지다. ‘모으다’의 피동사.
- 재료가 다 모이면 한데 섞어라.
- 이 산은 조그마한 돌들이 모여서 된 돌산이다.
- 잡다한 일들이 너무 많이 모여서 이제는 처리하기 힘든 실정이다.
- 도랑이 모여 내를 이루고 내가 모여 강을 이루어 엄청난 물결로 도도히 흐르고 있습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 곡물들이 모여 떠나는 집산지답게 역 철조망 뒤 화차 속으로 부리나케 짐들을 싣고 있는 역부들의 모습이 보였다.≪최인호, 지구인≫
- 수많은 낱말들이 모여 한 권의 사전을 이루듯이 우리들 삶도 수많은 장면들이 모여 한 삶을 이루는 것이리라.≪윤후명, 별보다 멀리≫
- 두 사람이 모이면 당이 두 개가 되고 세 사람이 모이면 당이 세 개가 되어 찢고 째고 싸우는 통에 끼어 그 싸움 말리느라고 허송세월을 했지.≪이병주, 지리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모히다(18세기~19세기)>모이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모이다’의 옛말인 ‘모히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모히다’는 “모으다”의 의미를 갖는 ‘모흐-’에 피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8세기에는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한 ‘모이다’ 형태도 등장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8~19세기에는 ‘모히다’와 함께 ‘뫼히다’도 나타났는데, 이는 ‘모히다’보다 앞선 형태인 ‘뫼호다’와 관련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또는 ‘모히다’에서 ㅣ모음 역행동화를 겪은 형태로 볼 수도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뫼히다, 모히다, 모이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