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모으다

- 활용
- 모아[모아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한데 합치다.
- 두 손을 모으고 기도드리다.
- 다리를 모으고 다소곳이 앉다.
- 직장을 다니는 아내는 너무 바빠서 빨래는 모아서 주말에 한꺼번에 처리하는 편이다.
- 부장은 미간을 모으면서 고개를 갸웃거렸다.
- 나는 사무실 바닥에 무릎을 모으고 빽빽이 들어앉은 노동자들 틈으로 돌아왔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동혁은 커다란 수갑을 찬 두 손을 모아, 줄을 쥐고 매달리며 힘껏 잡아당긴다.≪심훈, 상록수≫
- 그녀는 바다를 향해 두 발을 모으고 팔을 십자로 펴 올렸다. 신당에서 하듯이 두 손바닥을 머리 위에서 모아 턱 밑으로 내린 다음 가슴에 대고 절을 했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뫼호다(15세기~18세기)>모호다(17세기~19세기)>모흐다(16세기~19세기)>모으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모으다’의 옛말인 ‘뫼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 제1음절의 이중모음 ‘ㅚ’에서 반모음 ‘ㅣ’가 탈락한 ‘모호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모호다’에서 제2음절의 원순모음 ‘ㅗ’가 비원순모음 ‘ㅡ’로 변하여 ‘모흐다’가 되었고, 다시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여 ‘모으다’ 형태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뫼호다, 모호다, 모흐다, 모으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