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까이하다발음 듣기]
활용
가까이하여[가까이하여발음 듣기](가까이해[가까이해발음 듣기]), 가까이하니[가까이하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과)】【…을】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친밀하게 하다.
그는 새로 이사 와 이웃과 가까이하려고 노력했다.
그녀의 감정은 자주 심한 변동을 일으키고 중서와 가까이하는 것을 두려워하였다.≪오상원, 백지의 기록≫
백정은 팔천 중에서도 제일 밑바닥 천민이라, 양반들은 두말할 것도 없고 예사 상민들도 그들과 가까이하는 일이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그 두 사람이 서로 가까이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그런 사기꾼을 가까이하지 마라.
정말은 법도 주먹도 둘 다 가까이하고 싶지 않았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온갖 비난이 김 대감한테 쏠리고 있지만, 청백리를 가까이하는 것을 보면 오히려 나은 편인지도 모를 일이야.≪서기원, 마록 열전≫
오해하시면 곤란해요. 전 다만 결혼하기 전부터 어느 누구보다 선생님을 존경했으면서 가까이하지 못한 바보였다는 것을 알려 드리고 싶은 것뿐이에요.≪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같은 문을 그들은 열고 닫으면서 서로를 익히고 가까이하고 있었다.≪이덕자, 어둔 하늘 어둔 새≫
"성진이 그 자식 가까이하지 마라.……"≪한승원, 포구≫
막내인 병섭은 워낙 나이가 처져서 서로 가까이할 틈이 없었지만 두 살 터울인 만기 형과 기호는 어린 시절을 같이 보냈다.≪김영현, 해남 가는 길≫
평산은 최치수가 자기를 무척 가까이하는 것처럼 허풍을 떨었으나 그의 말을 믿는 마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갓가다(15세기)>갓가이다(15세기~19세기)>가까이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까이하다’의 옛말인 ‘갓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갓가-’는 형용사 ‘갓-’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부사 ‘갓가’에 접미사 ‘--’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 중엽 이후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였는데 접미사 ‘-이’ 앞에서는 ‘ㅇ’로 변함에 따라 15세기에 ‘갓가이-’와 공존하게 되었다. 이후 19세기까지 ‘갓가이-’가 지속되다가 제1음절의 종성 ‘ㅅ’의 영향으로 제2음절의 초성 ‘ㄱ’이 된소리가 되어 ‘가까이하-’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갓가다, 갓가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갓가다, 갓가이다)
부톄 아래 百千萬億 無數 諸佛 갓가야 諸佛ㅅ 그지 업슨 道法을 다 行야 ≪1447 석상 13:37ㄴ
婬躬로  처 戒體  허루려 호 모로 갓가이야 조 戒  모 더러이고져 호미라 ≪1461 능엄 1:37ㄱ
16세기 : (갓가이다)
얼굴 가죠매 아니완며 헤펄러 호 머리 며 비 단히 호매 믿부메 갓가이며 말과 긔운 내요매 야쇽며 거슯주 업게 홀 디니라 ≪1518 번소 4:6ㄴ-7ㄱ
17세기 : (갓가이다)
채텨 뵈야 안흐로 갓가이다 (鞭辟近裏) ≪1657 어록-초 21ㄱ
18세기 : (갓가이다)
화 티기 애 각각 스스로 화 흣터딘 後에 或 가 江河ㅣ나 池塘 에 갓가이야 頭面上 피 싯거나 ≪1792 무원 3:8ㄱ≫
19세기 : (갓가이다)
인군의 이 몬져 바르시면 신하의 졀죠도 이의 단졍 거시니 군 갓가이고 쇼인을 먼리 며 군량과 지식을 몬져고 문한을 나죵야 ≪1883 이언 2:5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