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어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오늘의 바로 하루 전날.
어제는 공휴일이었다.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아침밥을 먹고 나자마자 집을 나섰다.
어제가 어머님 생신이었는데 오늘에야 알았다.
어제는 눈이 오더니, 오늘은 비가 오는구나.
어제까지 농민군과 조정군 사이에 아무 일도 없었다. 홍계훈이가 효유문을 한 번 보냈을 뿐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그는 어제까지는 이리저리 피해 왔지만, 오늘은 피할 수 없이 손정남 대위에게 소대장으로 찍힌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모든 군사들이 나와 보니 어제보다 별이 희미하기는 하나 별이 하늘로 올라가는 것만은 분명하였다.≪홍효민, 신라 통일≫
그는 어제까지는 이리저리 피해 왔지만, 오늘은 피할 수 없이 손정남 대위에게 소대장으로 찍힌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모든 군사들이 나와 보니 어제보다 별이 희미하기는 하나 별이 하늘로 올라가는 것만은 분명하였다.≪홍효민, 신라 통일≫

역사 정보

어제(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어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어제’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어제, 어재, 어졔, 어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어제))
前生앳 이리 어제 본 야 ≪1447 석상 6:9ㄱ
16세기 : ((어제, 어재))
어제 작 ≪1527 훈몽 하:1ㄴ
이 버디 곧 긔니 어재  오다 ≪1510년대 번노 상:2ㄱ
17세기 : ((어제, 어재))
어제 뎌 놈이 내 집의 왓거늘 ≪1677 박언 중:47ㄱ
어재도 가 뵈올 거 ≪1676 첩신-초 8:20ㄱ
18세기 : ((제, 어재, 어))
小弟 어제 일즉 貴宅에 가 ≪1765 박신 1:56ㄴ
어재 보시고 서 말오니 ≪1748 첩신-개 7:33ㄴ
어 다가 이제 그치니 ≪1746 자성 외:37ㄱ
19세기 : ((어제, 어재, 어졔, 어))
어제 昨 ≪1880 한불 25
어재 작 昨 ≪1895 국한 211
어졔 오 昨今兩日 ≪1895 국한 211
어 미시에 열병이 물너갓나이다 ≪1887 성전 요한복음 4:52

관용구·속담(5)

관용구어제(가) 다르고 오늘(이) 다르다
변화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 아이들 크는 게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르다.
관용구어제가 옛날(이다)
변화가 매우 빨라서 짧은 시간 사이의 변화가 아주 크다.
관용구어제 오늘 할 것 없이
날짜를 가리거나 따질 것 없이.
  • 어제 오늘 할 것 없이 그를 대하면 언제나 기분이 나빴어.
관용구어제와 오늘이 다르다
하루 사이에 차이가 생겨서 같지 아니하다.
  • 세상일이란 어제와 오늘이 다른데, 그래 이 과장이 없는 소리를 했겠소? ≪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속담어제 보던 손님
처음 만나면서 구면같이 친한 사이가 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