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러나다

- 활용
- 일어나[이러나


- 품사/문형
- 「동사」 【…에서】
- 「001」누웠다가 앉거나 앉았다가 서다.
- 자리에서 일어나다.
- 의자에서 일어나다.
- 자리를 털고 일어나다.
- 옥이는 불현듯이 일어나, 낮에 주워다 둔 헌 담배설대를 그 툇마루 밑에서 꺼냈다.≪김정한, 수라도≫
- 나는 마치 몰이에 쫓기는 토끼처럼 다급한 마음으로 벌떡 일어나 벽에 걸려 있는 바지 주머니에서 지폐 몇 장을 꺼냈다.≪조선작, 영자의 전성시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일-나다(강원, 경상, 전남), 인-나다(경상, 전남), 늘-나다(평북), 늘어-나다(평북)
역사 정보
니러나다(15세기~19세기)>닐어나다(16세기~19세기)>일어나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일어나다’의 옛말인 ‘니러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닐어나다’는 “일어나다”의 뜻을 나타낸 ‘닐-’, 연결 어미 ‘-어’, “나다”의 뜻을 나타낸 ‘나-’가 결합된 것이다. ‘니러나다’를 재분석하여 분철한 ‘닐어나다’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닐어나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ㅣ’ 모음 앞에 ‘ㄴ’이 올 수 없게 됨에 따라 ‘일어나다’로 바뀐다. 이 ‘일어나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니러나다, 이러나다, 닐어나다, 일어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