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루

- 품사
- 「명사」
- 「003」손으로 다루게 되어 있는 연장이나 기구 따위의 끝에 달린 손잡이.
- 곡괭이 자루를 쥐다.
- 호미 자루가 부러졌다.
- 그는 자루 없는 낫과 괭이를 새끼에 묶어 들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 물론 자루가 짧은 권총은 윗도리의 겨드랑이 주머니에 넣고 가슴에 가죽끈을 두르고 있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 영규 대사가 거느린 승병들은 모두 다 장창과 자루 긴 낫을 들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그는 급기야 웃다가 지쳐, 커다란 자루가 쓰러지듯 힘없이 마룻바닥으로 픽 하고 쓰러져 버렸다.≪홍성원, 육이오≫
- 일찍 끝난 아이들도 꼭 기다려 같이 산비탈을 내려갔기 때문에 언제나 한 다스로 엮은 연필 자루 같은 느낌을 불러일으키게 했다.≪최인호, 미개인≫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가락(강원, 경기, 경상, 전라, 제주, 충남), 자리(강원, 경상), 잘기(강원, 경북), 잘루(강원), 잙(강원, 함경), 잘리(경상, 제주), 자뤼(전남), 자럭(제주), 자록(제주), 자룩(제주), 콜(제주), 시우괴(평안), 장비(함남)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로(18세기~19세기)>자로(19세기)>자루(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루’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단독으로 실현될 때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ㅇ’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6세기 이후로 유성 후두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ㅇ’은 ‘ㄹ’로 바뀌었는데, 이는 ‘, ㄹ’의 이형태 교체에 유추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형태 ‘ㄹ’의 예는 17세기 문헌까지만 나타나서, 근대국어 후기에 이러한 이형태 교체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ㆍ’가 ‘ㅗ’로 바뀐 ‘로’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19세기에는 ‘자로’ 형태가 등장하였고, 다시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자루’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ㅇ, ㄹ, 로, 자로, 자루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관용구·속담(1)
- 속담자루 베는 칼 없다
- 아무리 잘 드는 칼이라도 제 자루를 베지는 못한다는 뜻으로, 자기 일을 자기가 처리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