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ː무

- 품사
- 「대명사」
- 「001」어떤 사람을 특별히 정하지 않고 이르는 인칭 대명사. 흔히 부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하나, ‘나’, ‘라도’와 같은 조사와 함께 쓰일 때는 긍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하기도 한다.
- 아직 아무도 안 왔다.
- 그때는 아무나 붙들고 울고 싶을 만큼 절박한 심정이었다.
- 이 일은 아무라도 할 수 있어.
- 고집 세거나 영악스러운 데는 없어도, 아무가 보아도 순하고 말썽 없는 아이로 생긴 모습이었다.≪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 자기가 아니 하면 아무도 가문을 지켜 줄 이가 없다는 걸 그는 일찍부터 깨달아 왔다.≪이문열, 영웅시대≫
- 빨갱이네 재산이면 아무든지 먼저 손 댄 사람이 임자가 될 수 있는 판국이었으니까.≪이문구, 장한몽≫
- 그리고 그녀가 지루해하고 있다는 걸 두 남자 중 아무라도 눈치채 주길 고대했다.≪박완서, 미망≫
- 설사 그 일이 드러나더라도 아무도 감히 자기를 나무라거나 꾸짖으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그는 생각했다.≪한승원, 해일≫
- 그래서 대장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는 언제나 똑같은 깨달음으로 하대치는 머리를 숙일 수밖에 없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네 형은 수단이 없어서 장사도 못해. 아무나 장사하는 줄 아니.≪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그러나 갑자기 영산강에 물살이 드세어져서 아무도 강을 건널 수가 없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그리고 그녀가 지루해하고 있다는 걸 두 남자 중 아무라도 눈치채 주길 고대했다.≪박완서, 미망≫
- 그러나 막상 가서 보니 돈을 낸다고 숯을 아무한테나 파는 것이 아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그러나 눈 덮인 판자촌 골목을 다 빠져나올 때까지 아무와도 마주치지 않았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 종세는 쇠못을 주워 자물쇠를 열었다. 다행히 아무의 눈에도 띄지 않았다.≪최인호, 지구인≫
- 위원장 동무는 중요한 사업을 맡고 있는 분이오. 아무하고나 만날 수는 없소.≪이병주, 지리산≫
- 수백만이 죽어간 이 전쟁에 경민은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는 치욕스러운 상처를 입고 있는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아모(15세기~19세기)>아무(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무’의 옛말인 ‘아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아무’가 되었다. 한편 16세기~18세기 문헌에는 모음 ‘ㅗ’가 ‘ㅡ’로 바뀐 ‘아므’ 형태도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아모, 아므, 아무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