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우레

- 품사
- 「명사」
- 「001」벼락이나 번개가 칠 때에 대기가 요란하게 울림. 또는 그런 소리.
- 우레가 울다.
- 우레가 치다.
- 먼 하늘에서 우레가 울려왔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노상(경상), 울레(제주), 울뤠(제주), 우뢔(평안, 중국 요령성), 소나기(함경), 소낙(함경, 중국 길림성)
- 옛말
- 울에
역사 정보
울에(15세기~17세기)>우레(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우레’의 옛말인 ‘울에’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울에’는 “울다”라는 뜻을 가진 ‘울-’에 명사 파생 접미사 ‘-에’가 결합된 것이다. ‘울-’과 ‘-에’가 결합된 것이 ‘우레’로 연철되지 않고 ‘울에’로 분철된 것을 통해 제2음절의 ‘ㅇ’은 음가가 없는 ‘ㅇ’[zero]이 아니라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하면서 제1음절의 말음 ‘ㄹ’이 연철 표기된 ‘우레’가 나타나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한편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우뢰’는 “우레”를 의미하는 한자 ‘뢰’(雷)로 인해 ‘우뢰’라고 인식하게 되어 나타나게 된 어형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울에, 우레, 우, 우뢰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우레(와) 같은 박수
- 많은 사람이 치는 매우 큰 소리의 박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의 연주가 끝나자 우레와 같은 박수가 쏟아져 나왔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