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시어머니

- 품사
- 「명사」
- 「001」남편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
-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
- 지금 세상에도 시어머니에게 볶이는 며느리가 있나 하는 생각을 하며….≪염상섭, 취우≫
관련 어휘
- 반대말
- 친정-어머니(親庭어머니)
- 높임말
- 시-어머님(媤어머님), 존고(尊姑)
- 낮춤말
- 시-어미(媤어미)
- 지역어(방언)
- 시-어머이(媤어머이)(강원, 경남, 함남, 중국 흑룡강성), 써-어마이(강원), 씨-어마이(강원, 경남), 씨-어머이(강원), 시-어마시(경남), 시-어무이(경남), 시-오마니(媤오마니)(경남, 평안,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씨-어마니(경남), 씨-어마시(경남), 씨-어마씨(경남), 씨-어머니(경남, 전라), 씨-어무이(경남, 전라), 씨-엄마(경남), 씨-엄매(경남), 시-어마니(媤어마니)(경북, 전라, 평안, 함북,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시-어마씨(媤어마씨)(경북), 시-어매(媤어매)(경북), 어맴(경북), 시-어마이(媤어마이)(경상,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시-어메(媤어메)(전남), 어멩이(전남), 셤니(전라), 시-어무니(媤어무니)(전라, 평안, 중국 요령성), 시-엄니(媤엄니)(전라), 시-엄씨(媤엄씨)(전라), 씨-어무니(전라), 씨-엄니(전라), 씨-엄씨(전라), 씨-어멍(제주), 스-오마니(함북), 시-어므니(媤어므니)(중국 흑룡강성)
역사 정보
싀어마님(16세기~18세기)>시어머니(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시어머니’의 옛말인 ‘싀어마님’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싀어마님’은 “남편의”의 뜻을 가진 ‘싀-’와 ‘어머니’가 결합된 것이다. ‘믭다’가 ‘밉다’로 된 것과 같이 근대 국어 시기에 ‘ㅢ’가 ‘ㅣ’로 변하는 현상이 있었는데 ‘싀’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시’가 되었다. ‘어머니’의 옛말은 ‘어마님’, ‘어머님’이었는데 근대 국어 시기에 받침 ‘ㅁ’이 탈락하여 ‘어마니, 어머니’가 나오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싀어마님, 시어머니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4)
- 속담시어머니가 오래 살자니까 며느리가 방아 동티에 죽는 걸 본다
- 사람이 오래 살게 되면 망측한 꼴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시어머니에게 역정 나서 개 배때기 찬다
-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모에게 역정 나서 개의 옆구리 찬다’ ‘시어미 미워서 개 옆구리 찬다’ ‘시어미 역정에 개 옆구리[배때기/밥그릇] 찬다’
- 속담시어머니 죽으라고 축수했더니 보리방아 물 부어 놓고 생각난다
- 시어머니가 미워서 죽기를 빌었으나 막상 보리를 찧으려고 방아에 물을 부어 놓고 보니 시어머니가 그리워진다는 뜻으로, 미워하고 싫어하던 물건이나 사물도 막상 없어지고 나면 아쉽고 생각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아버지 죽으라고 축수했더니 동지섣달 맨발 벗고 물 길을 때 생각난다’
- 속담시어머니한테 괄시를 받아 본 며느리라야 후에 며느리를 삼아도 괄시하지 않는다
- 어떤 일을 직접 경험해 본 사람이 그 실정이나 사정을 잘 알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