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시-어미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시어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시어머니’의 낮춤말.
발뒤꿈치가 달걀 같다고 트집 잡는 시어미 소린 들었어도 입덧 안 한다고 깔보는 시어머니를 누가 상상이나 했겠니.≪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싀어미(15세기~19세기)>시어미(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시어미’의 옛말인 ‘싀어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싀어미’는 “남편의”의 뜻을 가진 ‘싀-’와 어머니를 홀하게 이르는 ‘어미’가 결합된 것이다. ‘믭다’가 ‘밉다’로 된 것과 같이 근대 국어 시기에 ‘ㅢ’가 ‘ㅣ’로 변하는 현상이 있었는데 ‘싀’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시’가 되었다. ‘싀엄이’의 ‘엄이’는 ‘어미’를 과잉 분철 하여 나타난 어형이다.
이형태/이표기 싀어미, 싀엄이, 시어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싀어미))
엇뎨 곰 싀어미 싀아비 拜謁리오 ≪1481 두시-초 8:67ㄴ
싀어미 더욱 조심야 셤기거늘 ≪1460년경 삼강-런던 열:2
16세기 : ((싀어미, 싀엄이))
싀어미 어엿비 너기고 ≪1588 소언 2:74ㄱ
다 싀엄이 옷의 잇더니 ≪1518 번소 9:64ㄱ
17세기 : ((싀어미, 싀엄이))
뎡유왜란애 싀어미 뫼시고 ≪1617 동신속 효8:23ㄴ≫
싀아비 싀엄이 셤기믈 ≪1617 동신속 열5:3ㄴ≫
18세기 : ((싀어미, 싀엄이))
싀어미 잘 셤기라 고 ≪1797 오륜 열:39ㄱ
싀엄이 孝養더니 ≪1737 여사 4:14ㄴ
19세기 : ((싀어미, 시어미))
싀어미 舅姑 ≪1880 한불 409
며나리가 늘거 시어미 되다 婦老爲姑 ≪1895 국한 112

관용구·속담(9)

속담시어미가 오래 살다가 며느리 환갑날 국수 양푼에 빠져 죽는다
사람이 너무 오래 살게 되면 못 할 일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시어미가 죽으면 안방은 내 차지
시어머니가 죽으면 며느리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는 뜻으로, 권력을 잡았던 사람이 없어지면 그다음 자리에 있던 사람이 권력을 잡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시어미 말대답이 아니라 경우가 그러하외다
며느리는 시어머니에게 옳은 말을 하고도 말대답이라고 야단맞는다는 뜻으로, 자신이 괜히 대드는 것이 아니라 경우가 그러함을 이르는 말.
속담시어미 미워서 개 옆구리 찬다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어머니에게 역정 나서 개 배때기 찬다’ ‘시모에게 역정 나서 개의 옆구리 찬다’ ‘시어미 역정에 개 옆구리[배때기/밥그릇] 찬다
속담시어미 범 안 잡은 사람이 없다
시어머니 치고 젊었을 때에 고생 안 했다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일은 제대로 잘하지도 못하면서 자기 자랑만 늘어놓음을 이르는 말.
속담시어미 부를 노래를 며느리가 먼저 부른다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내 할 말을 사돈이 한다’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내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
속담시어미 부를 노래를 며느리가 먼저 부른다
꾸짖음이나 나무람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내 할 말을 사돈이 한다’‘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내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
속담시어미 속옷이나 며느리 속옷이나
모두 한집안 식구의 것이라는 뜻으로, 구태여 내 것 네 것 가릴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시어미 역정에 개 옆구리[배때기/밥그릇] 찬다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어머니에게 역정 나서 개 배때기 찬다’ ‘시모에게 역정 나서 개의 옆구리 찬다’ ‘시어미 미워서 개 옆구리 찬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