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스스로

- 품사
- 「명사」
- 「001」자기 자신.
- 그는 스스로를 속이고 있다.
- 우리의 민족 문제는 우리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것이다.
- 성급한 판단이 오히려 스스로에게 역효과를 가져오는 수가 있다.
- 나중 생각은 하도 터무니가 없어서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 스스로도 깜짝 놀랄 지경이었다.≪박완서, 미망≫
- 판철이는 마당으로 나와서 잠시 어정거리며, 실없는 소문에 휘둘리고 있는 스스로를 꾸짖었다.≪한승원, 해일≫
- 생명이란 철저하게 고독하다는 교훈이 거북이의 형상이 되어 지금 눈앞에 있는 것이라고 느끼고 스스로의 고독을 되씹어 볼 때도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 그러나 내 정신은 여전히 몽롱하기만 했다. 나도 이종완 그처럼 주도면밀하게 스스로와 싸웠어야 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 그놈이 내 소유가 되기란 전혀 불가능한 일이라고 스스로에게 결론을 내리고 난 다음에도 여전히 나는 그놈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가 없었다.≪박기동, 아버지의 바다에 은빛 고기떼≫
- 어려울 때는 용이를 찾아올 만도 한데 체통이 소중한 김 훈장은 스스로는 발걸음을 하지 않았다.≪박경리, 토지≫
- 병역 관계처럼 골치 아프고 성가신 일은 다시없을 것임을 처남 스스로가 너무나 잘 알고 있던 것이다.≪이문구, 장한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스싀로(15세기~17세기)>스스로(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스스로’의 옛말인 ‘스싀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스싀로’는 기원적으로 체언 ‘*스싀’에 부사격 조사 ‘-로’가 결합한 것으로 파악된다. 15세기에 이미 제2음절의 모음이 ‘ㅡ’로 바뀐, 현대 국어와 동일한 형태인 ‘스스로’가 등장하여 ‘스싀로’와 공존하였다. 17세기까지 ‘스스로’와 ‘스싀로’가 공존하다가 이후 ‘스스로’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6세기~19세기 문헌에 나타나는 ‘스로’는, 16세기 이래로 비어두음절의 ‘ㆍ>ㅡ’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의식하여 ‘스스로’의 제2음절 모음 ‘ㅡ’도 ‘ㆍ’에서 변화된 것으로 잘못 인식하고 이를 과도 교정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스싀로, 스스로, 스로, 스로 |
세기별 용례 |
|
관련 정보 | 중세국어의 ‘스싀’는 모두 “스스로”의 의미를 지닌 부사로 쓰인 예만 나타나지만, 접미사 ‘-곰/옴’이 결합한 ‘스싀옴’이 존재하는 것이나, 체언에 부사격 조사 ‘-로’가 결합하여 부사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음을 감안할 때 ‘스싀로’ 역시 체언 ‘스싀’에 부사격 조사 ‘-로’가 결합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