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스스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자기 자신.
그는 스스로를 속이고 있다.
우리의 민족 문제는 우리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것이다.
성급한 판단이 오히려 스스로에게 역효과를 가져오는 수가 있다.
나중 생각은 하도 터무니가 없어서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 스스로도 깜짝 놀랄 지경이었다.≪박완서, 미망≫
판철이는 마당으로 나와서 잠시 어정거리며, 실없는 소문에 휘둘리고 있는 스스로를 꾸짖었다.≪한승원, 해일≫
생명이란 철저하게 고독하다는 교훈이 거북이의 형상이 되어 지금 눈앞에 있는 것이라고 느끼고 스스로의 고독을 되씹어 볼 때도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그러나 내 정신은 여전히 몽롱하기만 했다. 나도 이종완 그처럼 주도면밀하게 스스로와 싸웠어야 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그놈이 내 소유가 되기란 전혀 불가능한 일이라고 스스로에게 결론을 내리고 난 다음에도 여전히 나는 그놈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가 없었다.≪박기동, 아버지의 바다에 은빛 고기떼≫
어려울 때는 용이를 찾아올 만도 한데 체통이 소중한 김 훈장은 스스로는 발걸음을 하지 않았다.≪박경리, 토지≫
병역 관계처럼 골치 아프고 성가신 일은 다시없을 것임을 처남 스스로가 너무나 잘 알고 있던 것이다.≪이문구, 장한몽≫

역사 정보

스싀로(15세기~17세기)>스스로(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스스로’의 옛말인 ‘스싀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스싀로’는 기원적으로 체언 ‘*스싀’에 부사격 조사 ‘-로’가 결합한 것으로 파악된다. 15세기에 이미 제2음절의 모음이 ‘ㅡ’로 바뀐, 현대 국어와 동일한 형태인 ‘스스로’가 등장하여 ‘스싀로’와 공존하였다. 17세기까지 ‘스스로’와 ‘스싀로’가 공존하다가 이후 ‘스스로’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6세기~19세기 문헌에 나타나는 ‘스로’는, 16세기 이래로 비어두음절의 ‘ㆍ>ㅡ’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의식하여 ‘스스로’의 제2음절 모음 ‘ㅡ’도 ‘ㆍ’에서 변화된 것으로 잘못 인식하고 이를 과도 교정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스싀로, 스스로, 스로, 스로
세기별 용례
15세기 : (스싀로, 스스로)
그 어미 이 니 東山 딕희오고 스싀로 가 밥 어더 스싀로 먹고 ≪1447 석상 11:40ㄴ
사게 달온 고 能히 스스로 心念을 護持실 미라 ≪1467 목우 20ㄴ
16세기 : (스싀로, 스스로, 스로)
사으로 더브러  이쇼매 스싀로 편안코 리  요미 올티 아니니라 ≪1518 번소8:23ㄱ≫
스스로  ≪1527 훈몽 하:10ㄴ
人에 求 밧 者ㅣ 重고  스로 任 밧 者ㅣ 輕홈이니라 ≪1590 맹언 14:22ㄴ
17세기 : (스싀로, 스로, 스스로, 스로)
양 中에 스싀로 소 벌어디 하 시름다니 ≪1632 두시-중 10:28ㄴ
昆吾와 御宿괘 스로 니엣니 紫閣 뫼 그리메 渼陂에 드리 비취옛니라 ≪1632 두시-중 6:10ㄴ
지아비 죽거 호곡다가 사만의 스스로 목 라 주그니라 졍녀시니라 ≪1617 동신속 열1:49ㄴ≫
내 군긔 블 디 후의 스로 멱 디련노라 더라 ≪1617 동신속 충1:85ㄴ≫
18세기 : (스스로, 스로)
甚히 슈고롭고 나 엇디 敢히 스스로 편안호려 리오 ≪1737 어내 1:39ㄴ
비록 그러나 스로 라 스로 힘 거시 만흐니 ≪1761 경문 8ㄱ
19세기 : (스스로, 스로)
스스로 自然 ≪1895 국한 192
음을 돌으혀 도의 향고 허물을 곳쳐 스로 롭게 며 ≪1880 과화 5ㄴ
관련 정보 중세국어의 ‘스싀’는 모두 “스스로”의 의미를 지닌 부사로 쓰인 예만 나타나지만, 접미사 ‘-곰/옴’이 결합한 ‘스싀옴’이 존재하는 것이나, 체언에 부사격 조사 ‘-로’가 결합하여 부사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음을 감안할 때 ‘스싀로’ 역시 체언 ‘스싀’에 부사격 조사 ‘-로’가 결합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