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두렵따

- 활용
- 두려워[두려워


- 품사/문형
- 「형용사」 【…이】
- 「001」어떤 대상을 무서워하여 마음이 불안하다.
- 나는 그 여자가 두렵다.
- 나는 아무것도 두려울 것이 없었다.
- 사람들은 모두 그 어른이 두려워서 고개를 들지 못한다.
- 군사들이 두려운 게 아니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두 문의 기관포와 두 문의 대포였다.≪유현종, 들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두립다(15세기~18세기)>두렵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두렵다’의 옛말인 ‘두립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립다’는 본래 “두려워하다”의 의미를 갖는 동사 ‘두리-’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ㅸ-’이 결합한 것이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두립-’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두-’으로 나타나 ‘두립-/두-’의 교체를 보였다. 그런데 15세기에 ‘ㅸ’이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 앞에서 ‘ㅜ’로 변화하면서 모음 혹은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두리우-’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로써 15세기에 규칙용언이었던 ‘두립다’는 ‘두립-/두리우-’로 교체하는 ‘ㅂ’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17세기에 동사 ‘두리-’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업-’이 결합한 ‘두렵-’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두립다’는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형용사 파생 접미사 ‘-업-’은 본래 끝소리로 ‘ㅸ’을 갖던 것이었기 때문에 이 영향으로 ‘두렵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두렵-’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두려오-, 두려우-’로 나타나 ‘ㅂ’ 불규칙 용언으로 실현되었다. 18세기까지 ‘두립다’와 ‘두렵다’가 공존하다가 19세기에 ‘두렵다’만 남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두립-, 두-, 두리우-, 두렵-, 두려우-, 두려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