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설ː따

- 활용
- 설워[서ː뤄




- 품사/문형
- 「형용사」 【…이】
- 「001」원통하고 슬프다.
- 갈 곳 없는 내 처지가 너무도 섧다.
- 안 다친 데 없이 죄 뜯긴 수난녀는 너무도 섧고 너무도 분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유씨 부인이 땅이 꺼질 듯이 한숨을 쉬며 오막으로 돌아간 후, 하상은 세운 두 무릎 사이에 얼굴을 파묻고 섧게 울었다.≪한무숙, 만남≫
- 공들여서 쌓아 놓은 마음속의 탑이 불시에 무너진 것 같아서, 아깝고 분하고 낙심이 되어 혼자 섧지 않을 수 없다.≪염상섭, 취우≫
역사 정보
셟다(15세기~19세기)>섧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섧다’의 옛말인 ‘셟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셟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셟-’,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15세기 중엽 이후에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면서 ‘-’은 ‘셜우-’로 변화하였는데, 근대국어 시기에는 간혹 모음조화가 파괴된 ‘셜오-’의 예도 보인다. 근대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 하는 현상에 따라 ‘셔’가 ‘서’로 바뀌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섧다’ 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셟-/-, 셜우-, 셜오-, 섧-, 설우-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