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설ː따발음 듣기]
활용
설워[서ː뤄발음 듣기], 설우니[서ː루니발음 듣기], 섧고[설ː꼬발음 듣기], 섧지[설ː찌발음 듣기]
품사/문형
「형용사」 【…이】
「001」원통하고 슬프다.
갈 곳 없는 내 처지가 너무도 섧다.
안 다친 데 없이 죄 뜯긴 수난녀는 너무도 섧고 너무도 분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유씨 부인이 땅이 꺼질 듯이 한숨을 쉬며 오막으로 돌아간 후, 하상은 세운 두 무릎 사이에 얼굴을 파묻고 섧게 울었다.≪한무숙, 만남≫
공들여서 쌓아 놓은 마음속의 탑이 불시에 무너진 것 같아서, 아깝고 분하고 낙심이 되어 혼자 섧지 않을 수 없다.≪염상섭, 취우≫

관련 어휘

비슷한말
서럽다
옛말
셟다

역사 정보

셟다(15세기~19세기)>섧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섧다’의 옛말인 ‘셟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셟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셟-’,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15세기 중엽 이후에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면서 ‘-’은 ‘셜우-’로 변화하였는데, 근대국어 시기에는 간혹 모음조화가 파괴된 ‘셜오-’의 예도 보인다. 근대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 하는 현상에 따라 ‘셔’가 ‘서’로 바뀌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섧다’ 가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셟-/-, 셜우-, 셜오-, 섧-, 설우-
세기별 용례
15세기 : (셟-/-, 셜우-)
목수미 므거 거실 손 죽디 몯야 셟고 애왇븐 들 머거 갓가로 사니노니 ≪1447 석상 6:5ㄱ
喜見菩薩이 부텻 滅度 보고 슬허 셜 부텨 그리 ≪1447 석상 20:17ㄱ
셜 잀 中에도 離別 니 업스니 ≪1447 석상 6:6ㄱ
부텨 滅度 보고 슬허 셜워 부텨를 그리와 ≪1463 법화 6:153ㄱ
여희 셜운 미  올 얘라 ≪1481 두시-초 8:70ㄴ
16세기 : (셟-/셜우-)
다 거즈마 잘 니니 진실로 나 애와 주거 셟게 다 ≪1510년대 번박 상:35ㄱ-ㄴ
네 이러시 다 구의나깃 은으로 바면 내게 셜웨라 네게 언매나 셜우리오 즐기거든  고 슬커든 네 다  사라 가라 ≪1510년대 번노 하:60ㄴ-61ㄱ
17세기 : (셟-/셜우-, 셜오-)
우리 婦人도 이 衆人의 말을 드니 에 셟거든  이 男子漢이 므서 저퍼리오 ≪1677 박언 하:60ㄴ
시묘 삼 년 고 됴셕의 친히 졔야 슬피 셜워 우니 든 쟤 탄복더라 ≪1617 동신열 1:44ㄴ≫
네 이러트시 다 구읫나기 은으로 바드면 내게 셜웨라 네게 언머나 셜오뇨 즐기거든 흥졍을 고 슬커든 네 다  사라 가라 ≪1670 노언 하:55ㄱ
18세기 : (셟-/셜우-, 셜오-)
苦啊 셟다 傷痛 셜워다1748 동해 하:10ㄱ
이제 맛당이 녯 법으로  나 外園에 가릴 셜워 한숨홈이 더으니 燕燕詩 엇디 能히 비기리오 ≪1737 어내 2:62ㄴ
나지며 밤의 기리 각야 셜옴이 애 나디라 ≪1737 어내 2:62ㄱ-ㄴ
19세기 : (셟다, 섧다, 설우-)
셟다 悲悵 ≪1880 한불 406
섧다 哀痛 ≪1880 한불 393
설워 다 悲 ≪1880 한불 39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