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서ː럽따발음 듣기]
활용
서러워[서ː러워발음 듣기], 서러우니[서ː러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형용사」 【…이】
「001」원통하고 슬프다.
신세가 서러워서 울다.
타향살이하는 내 처지가 서럽기 그지없다.
강진에 유배된 그는 죄인과의 접촉을 두려워하는 고장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외롭고 서러운 신세였다.≪한무숙, 만남≫
삼은 대감의 초라한 상여가 돛단배에 실려 육지로 떠나던 날, 산지포에 모여 영결하던 접객들은 서럽게 호곡하며 눈물을 뿌렸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따뜻한 밥 한 끼 얻어먹지 못하고 돈 몇 푼을 얻어 다시 거리로 밀려난 그는 그때부터 세상과의 서럽고 고달픈 싸움을 시작했다.≪이문열, 영웅시대≫
사람의 발길이 끊긴 것도 서러운데 누가 무슨 권한으로 감히 물길을 끊는단 말인가.≪박완서, 미망≫
하숙방에 이렇게 홀로 다친 몸을 눕히고 있으려니 분하기도 하려니와 정말 외롭고 서러웠다.≪선우휘, 사도행전≫
신부를 집에 데려다 놓고 잔치를 베푼 다음 날 용이는 여독도 풀지 않은 채 봄갈이에 나섰다. 허전하고 서러운 마음에서 소 엉덩이를 갈기곤 했다.≪박경리, 토지≫
명희는 처음엔 심드렁하게 새로운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 같더니, 엄마가 헤어질 것을 밝히자 서러운 생각이 들었던 모양이었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역사 정보

셟다(15세기~19세기)> 설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서럽다’의 옛말인 ‘셟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9세기까지 형태 변화 없이 쓰이는 한편 ‘ㅂ’이 탈락하고 단모음화 된 형태가 19세기에도 나타난다. ‘서럽다’는 ‘셟>셜>설’의 형태로 변화한 ‘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업-’이 다시 결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셟다, 설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셟다)
손 죽디 몯야 셟고 애왇븐 들 머거 갓가로 사니노니 ≪1447 석상 6:5ㄱ
절야 보내며 모 몌여 셜 주그니도 잇더라 ≪1447 석상 24:51ㄴ
16세기 : (셟다)
진실로 나 애와 주거 셟게 다 ≪1510년대 번박 상:35ㄴ
17세기 : (셟다)
그 소리 슬허 셟고 이베 피 흘리니 ≪1632 두시-중 17:5ㄱ
18세기 : (셟다)
나 셟게 다 진실로 리디 못소이다 ≪1721 오륜전비 4:25ㄱ
19세기 : (셟다, 설다)
셰샹 사이 만히 괴이히 넉여 젹게 보니 엇지 셟지 아니리오 ≪1892 성직 1:28ㄴ
섧다 哀痛 ≪1880 한불 393
서러 못 살것다 悲迫欲死 ≪1895 국한 17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