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서ː럽따

- 활용
- 서러워[서ː러워


- 품사/문형
- 「형용사」 【…이】
- 「001」원통하고 슬프다.
- 신세가 서러워서 울다.
- 타향살이하는 내 처지가 서럽기 그지없다.
- 강진에 유배된 그는 죄인과의 접촉을 두려워하는 고장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외롭고 서러운 신세였다.≪한무숙, 만남≫
- 삼은 대감의 초라한 상여가 돛단배에 실려 육지로 떠나던 날, 산지포에 모여 영결하던 접객들은 서럽게 호곡하며 눈물을 뿌렸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따뜻한 밥 한 끼 얻어먹지 못하고 돈 몇 푼을 얻어 다시 거리로 밀려난 그는 그때부터 세상과의 서럽고 고달픈 싸움을 시작했다.≪이문열, 영웅시대≫
- 사람의 발길이 끊긴 것도 서러운데 누가 무슨 권한으로 감히 물길을 끊는단 말인가.≪박완서, 미망≫
- 하숙방에 이렇게 홀로 다친 몸을 눕히고 있으려니 분하기도 하려니와 정말 외롭고 서러웠다.≪선우휘, 사도행전≫
- 신부를 집에 데려다 놓고 잔치를 베푼 다음 날 용이는 여독도 풀지 않은 채 봄갈이에 나섰다. 허전하고 서러운 마음에서 소 엉덩이를 갈기곤 했다.≪박경리, 토지≫
- 명희는 처음엔 심드렁하게 새로운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 같더니, 엄마가 헤어질 것을 밝히자 서러운 생각이 들었던 모양이었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섧다
- 지역어(방언)
- 서룹다(강원, 경상, 전남, 충청), 스룹다(강원, 충북), 시럽다(경북), 서릅다(전남), 스럽다(전북, 충청), 스롭다(전북), 서끄다(제주), 서우라-하다(제주), 서쭙다(제주), 서창-하다(제주), 설룹다(제주), 서러웁다(충남), 스러웁다(충남), 슬따(충북), 슯다(충북)
역사 정보
셟다(15세기~19세기)> 설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서럽다’의 옛말인 ‘셟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9세기까지 형태 변화 없이 쓰이는 한편 ‘ㅂ’이 탈락하고 단모음화 된 형태가 19세기에도 나타난다. ‘서럽다’는 ‘셟>셜>설’의 형태로 변화한 ‘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업-’이 다시 결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셟다, 설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