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끌다발음 듣기]
활용
이끌어[이끄러발음 듣기], 이끄니[이끄니], 이끄오[이끄오]
품사/문형
「동사」 【…을】
「001」목적하는 곳으로 바로 가도록 같이 가면서 따라오게 하다.
가족을 이끌고 부산에 가다.
나는 동생들을 이끌고 동물원에 갔다.
그는 버선발로 뜰에 내려 덥석 혜장의 두 손을 잡고 그를 협실로 이끌어 들였다.≪한무숙, 만남≫
웅보 형은 대불이가 그의 대원들을 이끌고 영산포 왜병들을 기습한 일을 알고 있는 듯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비슷한말
끌다
지역어(방언)
이끄다(제주)
옛말
잇그다, 잇들다

역사 정보

잇그다(15세기)>잇글다(16세기~19세기)>이다(16세기)/잇다(17세기~19세기)>이끌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끌다’의 옛말인 ‘잇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어간말에 ‘ㄹ’이 첨가된 ‘잇글다’가 나타났다. 16세기의 ‘이다’와 17세기~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잇다’는 제2음절의 초성이 된소리가 되었음을 보여주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ㄱ’의 된소리를 ‘ㄲ’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이끌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잇그다, 잇글다, 이다, 잇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잇그다)
몬져 欲로 걸위여 잇그시고 後에 佛道애 들에 샤미라 ≪1463 법화 4:160ㄱ
하 길헤 騏驥 잇그며 雲臺예  남글 혀 가 도다 ≪1481 두시-초 24:10ㄱ
하 神靈이 七寶 술위 잇거 오며 ≪1459 월석 2:31ㄱ
吳ㅅ 와 楚ㅅ  百丈로 잇거 더운 제 셔울 가니 칩록 도라오디 몯얫도다 ≪1481 두시-초 10:27ㄱ
16세기 : (잇그다, 잇글다, 이다)
네 몬져 믈 기르라 가라 우리 둘히  잇거 가마 ≪1510년대 번노 상:34ㄴ
나 두워  보라 고 다니  잇그러 가라 져 ≪1510년대 번노 상:33ㄴ
셰샹애 어딘 인 업서 탐리 욕심이 어즈러이 이며 다 말이 들에여 다이즈니라 ≪1588 소언 사:4ㄱ
17세기 : (잇그다, 잇글다, 잇다)
하 길헤 騏驥 잇그며 雲臺예  남글 혀 가 도다 ≪1617 두시-중 24:10ㄱ
左手로 블근 굴에 잇거 라  시 날로 여 노피 오니라 ≪1632 두시-중 8:57ㄱ
三年을 졋 머기시매 어믜 기름과 피 먹니 잇글며 븟들며 간슈며 푸므시매 ≪1658 경민-중 28ㄱ
도적이  어미와 믿 처녀 자바 잇그러 가거 ≪1617 동신속 열6:51ㄴ≫
도적이 노흐로 손을 여 아프로 잇고 뒤흐로 모니 ≪1617 동신속 열4:64ㄴ≫
18세기 : (잇글다, 잇다)
城 밧긔 니르러  婦人이  아희란 안고  아희란 잇그러 가다가 ≪1737 어내 3:43ㄱ
父ㅣ 이에 소겨 女 잇글고 謝의 예 가니 ≪1737 여사 4:22ㄴ
사오나온 류의게 붓조차 가면 오 후에 사오나온  잇린다  거시 定論이라 ≪1790 첩몽 4:15ㄱ
19세기 : (잇글다, 잇다)
간 교를 거즛 셰워 용우 을 잇글고 달여 하에 오른다고 일커러셔 물을 거두고 ≪1880 과화 6ㄴ
져의 가치 법이 오 거시 곳 나의 가치 법을 잇그러 가미라 ≪1883 이언 1:08ㄱ
불효 앙과 허물을 잇그니1883 명성 28ㄴ
잇고 경계라  산으로 올나가셔 멀니 라보라 거 ≪1894 천로 2:14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본말/준말끌다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이끌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