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끌ː다

- 활용
- 끌어[끄ː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7」목적하는 곳으로 바로 가도록 같이 가면서 따라오게 하다.
- 아이 팔을 끌고 병원에 갔다.
- 동료들을 끌고 식당에 들어갔다.
- 아직 철이 잠에서 덜 깬 줄만 알고 있는 어머니가 부드럽게 철의 손목을 끌었다.≪이문열, 변경≫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유도-하다(誘導하다), 이끌다
- 참고 어휘
- 견인-하다(牽引하다), 끗다
- 지역어(방언)
- 끌르다(강원, 충남), 끄시다(경남), 끗다(경남, 전라), 끓다(경북, 전북, 충남), 끄스다(전남, 제주, 함경), 끄집다(전남), 끗다(전남, 제주), 끄슥다(전라), 끄식다(전라), 끄십다(전라), 끅다(전라), 끚다(전라), 끄슬다(함남), 꾸수다(함북)
- 옛말
- 다
역사 정보
그다(15세기)/다(15세기~16세기)>으다(17세기~19세기)>을다(18세기~19세기)/다(18세기~19세기)>끄을다(19세기)>끌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끌다’의 옛말인 ‘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그-’는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그-’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ㅇ-’으로 교체되었다. 16세기에 어두의 첫소리 ‘ㄱ’이 된소리가 되는 어두 된소리화를 겪어 ‘-’가 되었는데, 16세기 이후 유성 마찰음인 ‘ㅿ’[z]이 소멸함에 따라 17세기부터 ‘-’는 ‘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8세기에는 제2음절에 ‘ㄹ’이 첨가되어 ‘을-’로 나타났는데 ‘ㄹ’이 첨가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한편 18세기에는 제1음절과 제2음절의 모음인 동일 모음 ‘ㅡ’가 축약된 ‘-’이 공존하였다. 19세기에는 ‘ㄱ’의 된소리 표기가 ‘ㅺ’에서 ‘ㄲ’으로 변함에 따라 18세기 ‘을-’에서 변화한 ‘끄을-’이 나타났고, 이후 ‘끄을-’이 축약된 ‘끌-’이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그-, ㅇ-, -, 으-, 을-, -, 끄을-, 끌-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