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움지기다

- 활용
- 움직이어[움지기어/움지기여](움직여[움지겨]), 움직이니[움지기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멈추어 있던 자세나 자리가 바뀌다. 또는 자세나 자리를 바꾸다.
- 막걸리가 넘어가는 덕보의 목에선 목젖이 꿈틀꿈틀 움직였다.≪한수산, 부초≫
- 몸을 움직이다.
- 내가 돌아서려니까, 노인은 손을 저어 말리었다. 그러고는 상반신을 움직여 겨우 일어나 앉았다.≪손창섭, 유실몽≫
- 왼편 다리를 움직여 보려 하나 아파서 꼼짝을 할 수가 없다. 뼈가 퉁겨서 부러져 버린 것이 분명했다.≪박종화, 임진왜란≫
- 그가 아래턱을 움직일 때마다 턱뼈가 솟아오르고 관자놀이까지 크게 오르내렸다.≪황석영, 섬섬옥수≫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움즈기다/움즉다(15세기~19세기)>움즉이다(16세기~19세기)>움직이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움직이다’의 옛말인 ‘움즈기다’, ‘움즉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움즉이다’는 ‘움즉-’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으로 분석되는데 15세기 국어에서 ‘움즉-’ 역시 “움직이다”의 뜻으로 쓰였다. ‘움즈기다’와 ‘움즉다’가 같은 의미로 쓰인 것을 고려할 때 여기서 접미사 ‘-이-’는 특별한 의미를 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는 ‘움즉이다’는 ‘움즈기다’를 분철한 것이다. 이 ‘움즉이다’는 근대 국어 후기에 ‘ㅈ’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 모음화에 따라 19세기 문헌에서부터 ‘움직이다’로 나타나는데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움즈기다, 움즉다, 움즉이다, 움즉기다, 움기다, 움이다, 움기다, 움작이다, 움작이다, 움지기다, 움직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