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움츠리다발음 듣기]
활용
움츠리어[움츠리어발음 듣기/움츠리여발음 듣기](움츠려[움츠려]), 움츠리니[움츠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몸이나 몸의 일부를 몹시 오그리어 작아지게 하다.
너무나 민망해서 고개를 움츠렸다.
그는 한기에 몸을 움츠렸다가 손을 떼고 창밖을 응시하였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마누라의 호통에 주인 사내가 깜짝 놀란 듯이 어깨를 움츠렸다.≪황석영, 삼포 가는 길≫
소매 짧은 하얀 유니폼을 입은 그는 가을날 아침 공기가 몸에 차가운 듯 두 어깨를 움츠렸다.≪서정인, 후송≫
잔뜩 긴장했던 소대원들은 저마다 목을 움츠린 채 사지를 부들부들 떨기 시작한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다(15세기~15세기)>움치다(15세기~19세기)>움츠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움츠리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 보이는 ‘다’는 ‘다’의 제1음절 종성 ‘ㅊ’을 8종성 표기에 따라 ‘ㅅ’으로 적은 것이다. ‘움치다’는 어간 ‘-’과 접미사 ‘-이-’로 분석되는데 ‘움치다’와 ‘다’가 같은 뜻인 것을 고려할 때 이때의 접미사 ‘-이-’는 특별한 의미를 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움치혀다’는 ‘움치-’에 강세 접미사 ‘-혀-’가 결합된 것이다. ‘움츠리다’와 같이 ‘-’, ‘움치-’에 ‘리’가 결합된 어형이 19세기까지의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를 통해 ‘움츠리다’는 20세기 이후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움치다, 움치혀다, 움츠기다, 움치러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다, 움치다, 움치혀다))
모 事業 펴며 움츠며  긋 類ㅣ니 ≪1461 능엄 2:41ㄴ
슈신이 움처 드  ≪1489 구간 目錄:4ㄱ
엇뎨 펴며 움초미 이시리오 ≪1461 능엄 2:42ㄴ
입시우리 드리디 아니며 디 아니며 ≪1447 석상 19:7ㄱ
머리 움치고 잇거늘 ≪1460년경 삼강-런던 열:34
쇼와 왜 터리 치워 움치혀 고솜돋 더니라 ≪1481 두시-초 10:40ㄱ
16세기 : ((다, 움치다))
머리 움치고1518 번소 6:27ㄱ
17세기 : ((움치다, 움츠기다, 움치혀다))
움치다 (縮着) ≪1657 어록-초 16ㄱ
긔혈이 크게 움츠기고 독 믈이 야 ≪1608 언두 상:30ㄴ
쇼와 왜 터리 치워 움치혀 고솜돋 더니라 ≪1632 두시-중 10:40ㄱ
18세기 : ((움치다))
남의게 비러온 것 움치지 말며 ≪1796 경신 77ㄱ
19세기 : ((움치다))
달이가 제 마음로 그 을 움치기도 며 ≪1896 심상 2:2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