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엳ː뽀다발음 듣기]
활용
엿보아[엳ː뽀아](엿봐[엳ː뽜]), 엿보니[엳ː뽀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남이 보이지 아니하는 곳에 숨거나 남이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여 대상을 살펴보다.
창문으로 방 안을 엿보다.
적의 동정을 엿보다.
그는 그녀의 미모를 흘금 엿보았다.
차창 밑으로 급히 머리를 숙이고, 숨을 죽이고, 숨어서 나는 사내를 엿보았다.≪이제하, 기차, 기선, 바다, 하늘≫
그는 분명히 집안사람이 잠든 때를 타서 금순이가 자고 있는 건넌방 미닫이 틈으로 곧잘 안을 엿보고 그랬었던 것이라 한다.≪박태원, 속 천변 풍경≫

역사 정보

엿보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엿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엿보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엿보다’는 “살피다”의 뜻을 가진 ‘엿-’과 ‘보-’가 결합된 것이다. 이 ‘엿-’과 ‘보-’가 결합될 때 어미가 삽입된 형태가 ‘여보-’이다. 중세 국어에는 ‘여다’도 보이는데 이는 ‘엿-’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여-’와 ‘여보-’는 중세 국어 이후 ‘ㅿ’이 사라지면서 각각 ‘여으-’, ‘여어보-’로 바뀐다. ‘엿-’는 ‘엿보-’의 ‘ㅂ’이 모음 앞에서 ‘ㅸ’으로 변한 것인데 ‘ㅸ’이 사라지면서 ‘엿오다’, ‘엿우다’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엿보다, 엿다, 오다, 엿오다, 엿우다, 여다, 여보다, 여어보다, 여으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엿보다, 엿다, 오다, 엿오다, 엿우다, 여다, 여보다))
蜀ㅅ 님그미 吳 엿보아1481 두시-초 6:31ㄴ
측 이 더러 便安케 야 엿1447 석상 21:51ㄴ
佛祖도 올 分이 업스시니라 ≪1482 남명 上:3ㄴ
四面을 向야 窓牖 엿오더니1463 법화 2:123ㄱ
됴  그기 채 엿우미 호 免리라 ≪1482 금삼 2:2ㄱ
伺 여 필씨라 ≪1463 법화 7:114ㄱ
雪山애셔 盜賊 여보매1481 두시-초 21:3ㄴ
16세기 : ((엿보다, 여보다, 여어보다, 여다, 여으다))
 그윽  엿보디 아니며 ≪1588 소언 3:12ㄱ
사믜 아뎟 유무를 여보미 아니홀디니라 ≪1518 번소 8:22ㄱ
여어볼 쳐 ≪1576 신합 하:20ㄴ
닐웨 안해 우리 여셔 보다가 ≪16세기 장수 54ㄱ
여  ≪1576 신합 하:34ㄴ
여을 규 ≪1575 천자-광 16ㄱ
17세기 : ((엿보다, 여어보다))
虎狼ㅣ 中原을 엿보니1632 두시-중 2:57ㄱ
中門을 여어보디 말며 ≪1632 가언 2:16ㄴ
18세기 : ((엿보다, 여어보다, 여으다))
좌우의 만이 엿보 무리 계로 틈을 니 ≪1777 명의 권수상:59ㄱ
손을 여어보아 子의 벗이 범샹티 아니을 알며 ≪1737 여사 4:60ㄴ
穴隙을 鑽야 서르 여으며1749 맹율 3:50ㄱ
19세기 : ((엿보다))
고단 쟈 눈으로 엿보도다1898 시편 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