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지런하다

- 활용
- 부지런하여[부지런하여](부지런해[부지런해]), 부지런하니[부지런하니]
- 품사
- 「형용사」
- 「001」어떤 일을 꾸물거리거나 미루지 않고 꾸준하게 열심히 하는 태도가 있다.
- 부지런한 사람.
- 부지런하게 일하다.
- 언니는 천성이 부지런해서 식구 중에 제일 먼저 일어나 마당 청소를 한다.
- 능력대로 부지런하게 양심껏 사는 놈 치고 잘사는 놈을 보았던가.≪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하기는 이사 온 지 얼마 안 되는 이웃 간에선 여자가 부지런하고 맵짜고 야물다는 평판이 나 있긴 했다.≪박경리, 토지≫
- 부지런하기로 소문난 한 영감은 벌써 일어나 일하는 사람들을 제쳐 두고 마당을 쓸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일손은 느리지만 심덕이 좋고 부지런하여 배 구장의 신임을 돈독히 얻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그녀는 평생 술 담배는커녕 이웃 마실도, 수다 떠는 시간도, 낮잠도 모두 절약해서 부지런한 행동 하나로 많은 자녀를 대학에 보낸 분이었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역사 정보
브즈런다(15세기~18세기)>부즈런다(18세기~19세기)>부지런다(19세기)>부지런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지런하다’의 옛말인 ‘브즈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 ‘ㅁ, ㅂ, ㅍ’ 아래 오는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났는데 ‘브즈런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부즈런다’가 되었다. 단 원순모음화가 반영된 형태가 확인되는 것은 18세기에 와서이다. 19세기에 ‘ㅈ, ㅊ’ 아래 있는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모음화에 따라 ‘부즈런다’도 ‘부지런다’가 되었다. 근대국어 후기에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가 같아졌으나 19세기까지 ‘부지런하다’는 보이지 않다가 20세기 이후에 ‘부지런하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브즈런다, 브런다, 부즈런다, 부런다, 부지런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