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얼키다

- 활용
- 얽히어[얼키어




- 품사/문형
- 「동사」 【(…과)】【…에】
-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노끈이나 줄 따위가 이리저리 걸리다. ‘얽다’의 피동사.
- 이 줄이 다른 줄과 마구 얽혀서 풀어지지가 않는다.
- 여러 가지 색의 실이 얽혀 있어서 파란색 실을 찾을 수가 없다.
- 연줄이 뒤뜰 감나무 가지에 얽혀 있었다.
- 늙은이들은 노송의 휘굽은 가지에 얽힌 달을 바라다보며 거문고를 뜯었고 술잔을 기울였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역사 정보
얼키다(15세기~19세기)>얽히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얽히다’의 옛말인 ‘얼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얼키다’는 용언 어간 ‘얽-’에 피동 접미사 ‘-히-’가 결합된 것인데 ‘-히-’가 용언 어간말 자음 ‘ㄱ’과 결합하여 제2음절이 ‘키’로 나타난 것이다. 15세기부터 보이는 ‘얽키다’는 어간 ‘얽-’과 제2음절의 실제 발음 ‘키’를 고려한 중철 표기로 볼 수 있다. 18세기 이후에는 어간 ‘얽-’과 접미사 ‘-히-’를 밝혀 적은 ‘얽히-’가 나타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얼키다, 얽키다, 얼킈다, 얽히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