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건물 .
극장 안에 들어가다.
지갑 안에서 돈을 꺼내다.
추위에 떨다 식당 안으로 들어가니 몸이 녹는다.
옷은 옷장 안에 넣어라.
공원 안에서는 취사를 금합니다.

역사 정보

않(15세기~19세기)>안(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안’의 옛말인 ‘않’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않’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이나 단독으로 쓰일 때는 ‘ㅎ’이 탈락하는 ‘ㅎ종성체언’으로 ‘않/안’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도 ‘안’이 나타난 예가 보인다. 19세기까지도 ‘ㅎ’이 남아 있는 ‘않’과 ‘ㅎ’이 완전히 탈락한 ‘안’이 함께 나타나다가 현대 국어에 와서 ‘안’만 남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않, 안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않, 안)
宮內 宮 안히라1447 석상 3:6ㄴ
어운 고 조차 미 조차 잇니  안콰 밧과 中間과 세 고디 아니로소다 ≪1461 능엄1:63ㄴ≫
밧 보시고 보실 씨라 ≪1463 법화 1:142ㄴ
16세기 : (않, 안)
안해셔 블나 제 지비 니 븓거늘 ≪1514 속삼 효18ㄱ
안콰 밧기 서르 應야 일을 만남애 훤츨야 ≪1588 소언 6:124ㄱ
겨지븐 문 별시레 이셔 ≪1518 번소 7:19ㄴ
안에 각벼리 브석 라 두고 먹더니 ≪1518 번소 7:13ㄴ
17세기 : (않, 안)
치운 겨을히어든 드 방 안해셔 기라 ≪1608 언두 45ㄴ
唐僧의 師走 二 人이 졍히 셩 智海禪寺에 가 드러 자다가 ≪1677 박언 하:18ㄴ
이바디 먹고 잇긋 늣게야 자 안에 드러올 거시니 ≪1677 박언 상:57ㄴ
18세기 : (않, 안)
사흘 안흐로 십만 살을 글라 ≪1703 삼역 4:10ㄴ
네 遼東城 어 곳에 사다 ≪1765 청노 3:18ㄱ
이 고장을 衙門에 告면 三日 안에 지나지 못여 일뎡 審理發落홈이 되티라 ≪1765 박신 3:53ㄱ
19세기 : (않, 안)
것츠로 후 쳬 고 안흐로 칼을 품엇지라 ≪1852 태상 4:36ㄴ
민  션유현 남문 안에 관뎨묘가 잇스니 ≪1880 과화 18ㄱ

관용구·속담(2)

관용구안으로 들어가다
실속 있게 내용을 파고들다.
속담안 살이 내 살이면 천 리라도 찾아가고 밭 살이 내 살이면 십 리라도 가지 마라
출가하여 사는 부인들이 친정 식구는 매우 반겨서 극진히 대접하나, 시댁 식구는 달갑지 않게 여기고 대접도 소홀히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