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미워하다

- 활용
- 미워하여[미워하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밉게 여기거나 밉게 여기는 생각을 직접 행동으로 드러내다.
- 죄를 미워하다.
- 사용자와 노동자가 서로를 미워하면 모두 손해만 본다.
- 조부는 부친을 미워하고 못 믿었었다.≪염상섭, 삼대≫
- 양심이란 악을 미워하고 그것을 안 하려는 마음이거늘 그에겐 가난이야말로 악 그 자체였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두 달 동안 기거를 같이했으나 한 번도 그는 그녀를 미워해 본 적이 없다.≪홍성원, 기관차와 송아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미여이-하다(제주), 밉살-불르다(제주), 밉어-하다(함북, 중국 길림성)
역사 정보
믜다(15세기~18세기>믜여다(15세기~18세기)>믜워다(19세기)>믜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미워하다’의 옛말은 ‘믜다’에 ‘-어다’가 붙은 ‘믜여다’가 직접적인 소급형이며, ‘믜여다’는 ‘미워하다’의 뜻은 ‘믜다’와 관련이 있다. 즉 현대 국어 ‘미워하다’는 15세기에는 같은 뜻의 ‘믜다’가 있었지만 동시에 ‘믜다’에 ‘-어다’가 연결된 ‘믜여다’도 있었다. 파생 동사인 ‘믜여다’는 계속 쓰였으나 파생의 출발이 된 ‘믜다’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 ‘믜여다’는 18세기까지 쓰이다가, 17세기부터 등장한 ‘믜워다’에 밀리게 되었고 19세기에 단모음화를 경험하면서 ‘미워다’로, 다시 맞춤법에 의해서 ‘미워하다’로 정착되어 현재까지 쓰인다. ‘믜다’와 같이 ‘-어다’에 의해 파생되는 동사들이 점차 쓰이지 않게 되는 현상은 ‘둏다~됴하다’, ‘슳다~슬허다’ 등에서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믜다, 믜여다, 므여다, 믜워다, 미여다, 미워하다, 미워다, 뮈다, 미우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