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수다발음 듣기]
활용
바수어[바수어발음 듣기](바숴[바숴]), 바수니[바수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여러 조각이 나게 두드려 잘게 깨뜨리다.
알약을 바수어서 조제하다.
논개의 낭낭한 시 읊는 소리는 구슬을 바수는 듯 촉석루에 가득하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다(16세기~17세기)>바수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수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ㅇ-’으로 나타나 ‘-/ㅇ-’의 교체를 보였다. ‘ㅇ-’은 팔종성법에 따라 ‘ㅇ-’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16세기부터 점차 ‘ㅿ’이 사라지면서 대체로는 ‘ㅿ>ㅇ’의 변화가 일어났으나 간혹 ‘ㅿ>ㅅ’으로 변화한 경우도 있었는데, ‘다’의 경우는 후자의 경우에 속하여 16세기에 ‘다>다’로 변화하였다. ‘다>바수다’의 변화 과정은,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다>*스다’로 변화하고,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스다>*바스다’로 변화한 후, 19세기에 제2음절의 모음 ‘ㅡ’가 ‘ㅜ’로 바뀌어 ‘바수다’ 형태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7세기~18세기 문헌에는 ‘다’가 일반적인 ‘ㅿ>ㅇ’의 변화 과정에 따라 ‘다’로 변화한 형태도 나타난다. 18세기까지는 ‘다’와 ‘다’ 두 형태가 공존하다가 19세기 이후로 ‘다>으다’ 형태는 사라지게 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 ㅇ-, ㅇ-, -, -, 으-, 바수-
세기별 용례
15세기 : (-, ㅇ-, ㅇ-)
내 모 엇뎨 드틀티 디 몯관 내 아리 목수믈 일케 야뇨 ≪1459 월석 21:219ㄴ
비록 塵劫이 디나록 모 며 命을 히 야도 得道 期限이 잇디 아니리니 ≪1463 법화 1:223ㄱ
그저긔 世尊이 大悲力으로 金剛 모 아 舍利 시니 여듧 셤 너 마리러시니 ≪1447 석상 23:51ㄱ
보 뫼호 須彌티 며 界 오 微塵티 야 ≪1482 금삼 5:47ㄴ
麨 이며 리며 아  왼 거시오 酪 타라기오 蜜摶 레 긜 씨라 ≪1459 월석 4:55ㄴ
16세기 : (-)
슬프다 몸 며  두드리와도 ≪1561 선가 3ㄱ
17세기 : (-, -)
횩다 零碎 ≪1657 어록-초 6ㄱ
초호애 환을 탄 크니만 야 양  제  환을 아 고  술  잔애 유 넉 냥을 화야 흘리라 ≪17세기 마경 하:92ㄱ
적을 지저 니되 몸을 뎜이고  아도 셰여 몸을 오욕디 아니호리라 ≪1617 동신속 열6:78ㄴ≫
18세기 : (-, 으-)
粉碎貌 다1748 동해 하:57ㄱ
다 궐뎡의 업듸여 머리 으고 간을 헤텨 ≪1765 천의 1:41ㄴ
19세기 : (바수-)
바수다 打破 ≪1895 국한129≫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