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더하다발음 듣기]
활용
더하여[더하여](더해[더해]), 더하니[더하니]
품사/문형
「형용사」 【…보다】
「001」어떤 기준보다 정도가 심하다.
추위는 작년보다 올해가 더하다.
너의 요구 조건은 악덕 채권업자보다 더하다.
조세 부담은 작년보다 올해가 더하다.
기른 정이 낳은 정보다 더하다.
서 선생님은 한량없이 순진한 분예요. 상상 못할 정도의 정의파이고 소녀보다도 더한 감수성의 소유자예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교도들이 그렇게 고생한 보람이 조금이라도 날 줄 알았는데, 전보다 되레 더하니 답답하기 이를 데 없사옵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그러다 보니 동족과 파당의 결속을 강화하는 데 힘쓰게 되고, 그리하여 상대방을 원수보다 더하게 보는 끈질긴 당쟁이 이어져 내려왔던 것이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백발이 성성하긴 오히려 윤 노인보다 종상이가 더하다.≪박완서, 미망≫
사실 외국 생활에서처럼 편지가 간절히 그리울 때가 또 있을까? 군대 생활보다 더하면 더하지 덜하지는 않을 것이다.≪이익섭, 좋은 글을 찾아서≫
그의 마음속에는 매질하는 홍 씨에 대한 원망보다 준구에 대한 원망이 더하였다.≪박경리, 토지≫
어느 한쪽의 바퀴가 더하거나 모자라면 수레는 굴러가지를 못해.≪김성동, 꿈, 창작과 비평사, 2001년≫
가뭄이 들면 속타는 건 오히려 더하다. 홍수처럼 눈에 보이게 갑자기 쓸려 내려가지는 않지만 곡식이 바짝바짝 타들어 가는 꼴을 보며 오지 않는 비를 기다리며 하늘만 쳐다보는 건 정말 할 짓이 못 된다.≪조성우, 농민 이야기 주머니, 도서 출판 녹두, 1992년≫
그 은근한 감미가 고달픈 석회질 많은 땅에서 자란 고추일수록 더하다는 것은 우리 고추 명품들의 생산 토양 분석에서도 입증되고 있다.≪조선일보 2003년 1월≫

관련 어휘

반대말
덜-하다
지역어(방언)
더의다(제주)
옛말
더-다, 더으다

역사 정보

더다(15세기~19세기)>더하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더하다’의 옛말인 ‘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더다’는 부사 ‘더’와 동사 ‘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도 ‘하-’로 변하면서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더하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중세국어에는 ‘더다’와 의미가 같은 동사 ‘더으다’도 존재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더다, 더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더다)
太子ㅣ 門 밧긔 가 보신 後로 世間 슬흔 미 나날 더으거시 王이  류 사 더야 달애더시니 ≪1447 석상 3:22ㄱ
王이 寶藏 太子 주어  布施야 아래두고 더게 시니 布施 마디 아니야 부톄 외니라 ≪1459 월석 20:90ㄴ
그 삼가며 조호미 호 샤 이 骨肉 아게 더더시니라1481 두시-초 24:23ㄴ
16세기 : (더다)
다 두 만 니디 말오 네  닷 돈만 더야든 네게 로마 ≪1510년대 번노 하:23ㄱ
샹녜 다 사 친히 너겨 형뎨라와 더리 잇니 ≪1518 정속-이 4ㄱ
17세기 : (더다)
살 님재 네 갑 더디 아니면  사디 못고  님재 갑 만히 라면  디 못리라 ≪1670 노언 하:12ㄱ
前代예 덧덧이 旌表호믈 더야 이제 니히 일라 올 가문이라 고 ≪1658 경민-개 25ㄴ
18세기 : (더다)
添上 더다1748 동해 하:22ㄴ
사의  久長 慶을 어듬이 積善애 더니 업며 ≪1737 여사 3:7ㄴ
이제 니러 내 병이 더야 남의 긔약이 업다 ≪1756 천의 1:16ㄴ
사 사은 다시 닷 兩을 더여 주라 ≪1765 청노 5:19ㄴ
19세기 : (더다, 더하다)
법 우희 법을 더고 고 즁에 고 더니1865 주년 31ㄱ
너ㅣ 나 랑기 이 사들보다 더냐1894 훈아 40ㄱ
샹 션기에 민쳡야 덕이 날노 더야 령셩이 풍죡니 ≪1892 성직 29ㄴ
음을 게 고 힘을 더여 착 닐을 더니 ≪1852 태상 3:47ㄴ
더하다 加益 ≪1895 국한 77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