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그륻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4」어떤 일이 사리에 맞지 아니하게.
여러분 동포가 의리를 잘못 잡고 생각이 그릇 들어서 요순 같은 황제 폐하 칙령을 거스르고….≪이인직, 은세계≫

관련 어휘

옛말
외-오, 그르

역사 정보

그릇(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그릇’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그릇’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16세기부터 ‘그’으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한 것을 의식하여 ‘그릇’이 ‘그’에서 온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과도 교정한 결과이다.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그륻, 그’은 종성의 ‘ㅅ’과 ‘ㄷ’ 표기가 혼란되면서 나타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그릇, 그륻, 그, 그, 글읏
세기별 용례
15세기 : (그릇)
唐道宣律師ㅣ 바 길 녀다가 바 그릇 드듸여 믄득 神人이 現身야 바다 階下애 디디 아니케 야 ≪1461 능엄 7:62ㄱ
16세기 : (그)
샹위 듯디 아니시면 내죵애 나라 그 니이다 ≪1581 속삼-중 충:6ㄱ
17세기 : (그릇, 그, 그)
언제 와 가져 가료 글픠 와 가져 가라 일뎡히 다 네 放心라 네하 그릇 아니호리라 ≪1677 박언 중:5ㄱ
비위 홈은 다 오래 목  제 믈을 그릇 먹겨 슈를 너모 하게 며 ≪17세기 마경 상:110ㄱ
그 錯 ≪1657 어록-초 3ㄱ
샹이 듣디 아니시면 내 나라 그 링이다 ≪1617 동속 충:3ㄴ≫
18세기 : (그릇, 그, 그륻, 글읏)
大方脉科에 傷風을 그릇 아라 傷寒이라 고 陰証을 그릇 아라 陽証이라 며 ≪1721 오륜전비 2:40ㄱ
죄 업니 그릇 걸닌 쟤 업줄을 엇디 알니오 ≪1758 종덕 어제서:3ㄴ
訛傳 그릇 젼다 ≪1790 몽보 36ㄱ
그 비록 흠휼나 엇디 그 걸니니 업 줄을 알니오 ≪1759 속자성 15ㄴ
가비건대 사미 제 디불을 몰라 밀코 험도의 그륻 드니 ≪1762 지장 중:21ㄴ
그러나 글와 글 이예 의심이 이 고지 이시면 각이 이에 이시나 혹 글읏 닑기 일위면 ≪1746 자성 내:28ㄱ
19세기 : (그릇, 그)
오직 우연이  번 각을 잘못 며  가지 일을 그릇  죄 인야 문쵸야 결안을 엇지 못고 ≪1883 이언 4:45ㄴ
그 쓰다 誤書 ≪1880 한불 17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