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발짜국

- 활용
- 발자국만[발짜궁만

- 품사
- 「명사」
- 「001」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
- 짐승의 발자국.
- 깨끗한 벽이 발자국으로 더럽혀졌다.
- 사냥꾼은 노루의 발자국을 따라 노루를 추격해 갔다.
- 깊은 밤 골목길은 사람의 발자국 하나 없는 하얀 눈길이었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 그는 어지러이 널려 있는 운동화 발자국들을 가리켰다.≪이문구, 장한몽≫
- 눈부시게 노란 모래 비탈에 길게 반원을 그리며 한가한 발자국을 남기며 아내는 내가 서서 기다리는 바닷가로 내려왔고….≪안정효, 하얀 전쟁≫
- 이마에 손을 대어 보니 미끄럽고 검은 것이 묻어났다. 손가락을 뿌리고 다시 발자국을 따라 몸을 움직이려고 했을 때였다.≪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 다만 발자국을 옮기는 소리만이 사박사박 일어날 뿐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아무런 발자국이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나다닌 사람은 없어 보였다.≪최인호, 지구인≫
- 땅 위에 황소 발자국과 뒤섞여 외팔이의 고무신 신은 발자국이 찍혀 있었다.≪전상국, 바람난 마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발자곡(18세기)>발자국(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발자국’의 옛말인 ‘발자곡’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발’과 ‘자국’의 뜻인 ‘자곡’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이다. ‘발’은 15세기에 ‘’로 쓰였으나 ‘’과 ‘자곡’이 결합된 합성어는 없는 듯하다. 19세기에는 ‘자곡’의 ‘ㅗ’가 ‘ㅜ’로 바뀐 ‘발자국’이 쓰였는데 교체의 정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근대 국어 후기에 ‘ㅗ’ 모음을 가진 단어가 ‘ㅜ’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고 ‘발자국’도 이 현상에 의해서 현재의 어형이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발자곡, 발자국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