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미루다

- 활용
- 미루어[미루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으로】
- 「001」정한 시간이나 기일을 나중으로 넘기거나 늘이다.
- 오늘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자.
- 혼사를 봄으로 미루게 됐다는 말을 들은 뒤부터는 닷새 간격 혹은 열흘 간격으로 만났었다.≪송기숙, 암태도≫
- 오늘 돈을 못 구하면 어떡하지요. 주인 사장님께 사정해서 날짜를 미룰 수 있을까요?≪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역사 정보
미로다(16세기~18세기)>미루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미루다’의 옛말인 ‘미로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밀다’에 사동 접미사 ‘우’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이다. 18세기 이후에는 사동 접미사 ‘이’가 더 추가된 ‘미뢰다, 미뤼다’ 등의 어형이 많이 쓰였으나 19세기로 오면서 ‘미루다’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미로다, 미뢰다, 미뤼다, 미루다, 밀우다, 밀위다, 밀외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