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묵따

- 활용
- 묽어[물거




- 품사
- 「형용사」
- 「001」죽이나 반죽 따위가 보통 정도에 비하여 물기가 많다.
- 죽이 묽다.
- 팥죽을 묽게 끓이다.
- 반죽이 묽어 수제비 뜨기가 좋지 않다.
- 아침 끼니는 얼굴 비치는 시래기죽으로, 저녁은 송기 넣은 묽은 고구마죽으로 때우는 처지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 누나는 또 팥소가 바깥쪽으로 흘러나와 있는 것을 가리키며 아무래도 반죽이 묽은 듯하다고 평가했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멁다(경기, 경상, 충남), 무르다(경상, 제주), 무리다(전남), 물그럼-하다(전남), 밀거다(전남), 밁다(전남), 홀랑-허다(전남), 눍다(전라, 충북), 물겁다(함남)
- 옛말
- 믉다
역사 정보
믉다(15~18세기)>묽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묽다’의 옛말은 ‘믉다’이다. ‘믉다’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쓰였는데, 18세기에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변화하는 원순 모음화를 경험하면서 ‘묽다’가 되어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믉다, 물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