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물리다

- 활용
- 물리어[물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
- 「016」갚아야 할 것을 치르게 하다. ‘물다’의 사동사.
- 국민에게 세금을 물리다.
- 정부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업체에 부과금을 물렸다.
관련 어휘
- 옛말
- 물이다
역사 정보
믈리다(17세기~19세기)>물리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물리다’의 옛말인 ‘믈리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돈을) 물다’의 뜻인 ‘믈다’에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되면서 형성된 동사이다. ‘믈이다’의 ‘믈’은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에 따라 ‘물이다’로 바뀔 수 있고, ‘ㄹ’로 끝나는 어간 형태 뒤의 사동 접미사 ‘이’가 ‘리’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믈리다’로 바뀔 수 있는데 ‘물이다’는 검색되지 않고 ‘믈리다’의 형태만 19세기까지 광범위하게 쓰였다.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는 18세기에 일반화되어 용례가 검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19세기에 검색되는 ‘믈리다’는 일종의 보수적 표기에 해당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믈리다, 물리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