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끈타발음 듣기]
활용
끊어[끄너발음 듣기], 끊으니[끄느니발음 듣기], 끊는[끈는발음 듣기], 끊소[끈쏘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실, 줄, 끈 따위의 이어진 것을 잘라 따로 떨어지게 하다.
실을 끊다.
테이프를 끊다.
고무줄을 끊다.

역사 정보

긏다(15세기~19세기)>다(17세기)>다(17세기~19세기)>끊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끊다’의 옛말인 ‘긏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긏-’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긋-’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긏-’으로 나타나 ‘긋-/긏-’으로 교체되었다. 17세기에 끝소리 ‘ㅊ’ 앞에 ‘ㄴ’이 첨가되어 ‘-’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어두의 첫소리 ‘ㄱ’이 된소리가 되는 어두 된소리화를 겪고, 끝소리 ‘ㄴㅊ’이 ‘ㄴㅎ’으로 변하여 ‘-’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종성이 ‘ㄴㅎ’으로 변한 것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 것이다. ‘-’의 어간 말음 ‘ㅊ’을 ‘ㅈ+ㅎ’으로 재분석하면, ‘-’의 종성은 ‘ㄴ+ㅈ+ㅎ’이라는 세 개의 자음이 되는데, 국어에서는 이러한 자음 연속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 중에서 하나의 자음을 탈락시켜야 한다. 그 결과 ‘ㅈ’이 탈락하여 ‘-’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세기에 ‘ㄱ’의 된소리 표기가 ‘ㅺ’에서 ‘ㄲ’으로 변하여 ‘끊-’으로 나타나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긏-, 긋-, 긋ㅊ-, 근ㅊ-, -, ㅊ-, 끊-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긏-, 긋-)
太子ㅣ 부톄 외시면 聖王ㄱ 子孫이 그츠시리다1447 석상 3:10ㄴ
戒取를 論뎬 苦와 道와 迷니 어린 사미 갓 精勤苦行이 能히 生死 긋니라1459 월석 11:120ㄴ
16세기 : (긏-, 긋-, 긋ㅊ-)
오히려 존졀여 시곤 며 신하 샹사 지비 법졔 뎡 니 이시며 셰가니 그츨 주리 잇곤 히 샤치야 홋 이를 혜디 아니려 ≪1518 정속-이 25ㄱ
그츨 단 ≪1576 신합 하:12ㄴ
 안 後에 自然히 雜念이 漸漸 긋논 디 믓겨리 漸漸 그추미 니라 ≪1522 법집 76ㄴ
뎡시 싀골셔 긔별듯고 울으믈 긋치디 아니니 눈물이 진야 피나더라 ≪1581 속삼-중 열:27ㄱ
17세기 : (긏-, 긋-, 긋ㅊ-, -, -)
노 양 하해 가 드듸옛니 온 미 그츨  업도다 스싀로 훤 사 곧 아니면 예 올아 도로혀 온 ≪1632 두시-중 9:32ㄱ
秦州에 흐린 涇水 흐르 해 애 긋노라1632 두시-중 3:37ㄴ
냑간과 폐위병은 응당이 됴키 어렵고 비위 샹고 챵 긋츠면 죽으미 의심 업니라 ≪17세기 마경 하:120ㄴ
지아븨 상의 슬허 샹훼기 녜예 넘게 고 머리터럭글 근처 슈졀야 지아븨 시 옫과 관과 막대와 신을 베프고 됴셕의 친히 졔고 ≪1617 동신속 열3:27ㄴ≫
扯段子 비단 타1690 역해 하:5ㄱ
18세기 : (-, -)
斷了 타1748 동해 하:53ㄴ
범을 노하 사을 셔름 만나게  거시니 훗 근심을 흐려 면 蔡陽으로 아 죽여지라 ≪1774 삼역 2:4ㄴ
간댱을 츰애 간댱이 처 츨 간댱이 업다 ≪1721 오륜전비 4:33ㄱ
19세기 : (긋ㅊ-, -, 끊-)
왕이 관을 닷고 졔 긋츠면 쳥컨 샹오  뉵 니 드리리라 ≪1832 십구 2:84ㄱ
셔안 밋 글 기 허치 아니더니 손의 과환이 치지 아니니라 ≪1882 경석 4ㄱ
타 絶斷 ≪1880 한불 169
내 을 밧지 아니면 스로 텬디를 흐미니 스로 텬디를 허 바리면 맛 어 곳으로 도라가리오 ≪1884 관성 10ㄱ
아오로 샤교와 이단의 풍쇽과 갓가지 죄 범 근원을 끈허 리고 ≪1882 성절 21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