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나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되고, 주권(主權)에 의한 하나의 통치 조직을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 국민·영토·주권의 삼요소를 필요로 한다.
나라를 다스리다.
나라를 세우다.
나라를 잃다.
나라를 지키다.
대포나 화총을 만드는 일은 나라를 강하게 하는 데 꼭 필요한 일이네.≪황인경, 소설 목민심서≫
하 군이 좌익이고 내가 우익이라고 치더라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은 한 가지 아니겠습니까.≪이병주, 지리산≫

관련 어휘

비슷한말
국가(國家), 방가(邦家), 방국(邦國)
지역어(방언)
나랑(함북)
옛말
나랗

역사 정보

나랗(15세기~19세기)>나라(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나라’의 옛말인 ‘나랗’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나랗/나라’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16세기부터 ‘나라와, 나라을’ 등과 같이 기존에 ‘나랗’이 쓰이던 환경에서 ㅎ이 탈락한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19세기까지는 ‘나랗’ 형태 역시 공존하였다. 한편 19세기에는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져 표기의 혼란이 일어나면서 ‘나, 라’ 등의 표기도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나랗, 나라, 나, 라
세기별 용례
15세기 : (나랗, 나라)
國 나라히라1446 훈언 1ㄱ
제 아기 아 가드리고 제 나라로 갈 쩌긔 부텨와  ≪1447 석상 6:22ㄱ
여러 王히 부텻긔 나가 無上道理 묻고 됴 나라콰 宮殿과 臣下와 고마 리고 머리 가 法服 니브리도 보며 ≪1447 석상 13:20ㄱ
그 부텻 나라토  이 리라 ≪1459 월석 12:13ㄱ
즉자히 해셔 兵甲이 나거늘 四兵 초아 리고 그 나라 티라 가더니 ≪1447 석상 24:12ㄱ
나라마다  釋迦ㅣ 나실 ≪1459 월석 2:54ㄴ
16세기 : (나랗, 나라)
나라희셔 云革이 功臣 이시고 ≪1514 속삼 충:4ㄴ
너브신 복이 하와 샤 도 고며 비도 슌야 나라히 대고  편안 저긔 ≪1510년대 번박 1ㄱ
아비 어미 잘 셤겨 효도며 슌히 야 글읏치 말면 고을히며 히 디다 일며 나라토 어디다 야 이 인니 ≪1579 경민-중 3ㄱ
네 화 사 도의여 라나 급뎨야 벼슬야 나라 돕와 님굼 진심야 셤기오며 ≪1510년대 번박 50ㄴ
나라 국 ≪1527 훈몽 中:1ㄱ
東關  일홈이니 吳ㅅ 나라와 싸호다가 패니라 ≪1588 소언 6:23ㄱ
내 아비 들으면 노야 올거시니 내 나라을 위와 어버의게 거리니 내 장 셜워 옴이다 ≪1581 속삼-중 충:6ㄴ
17세기 : (나랗, 나라)
周ㅣ 비록 녯 나라히나 그 命이 新도다 ≪1613 시언 16:1ㄱ
어 나라 신하고 로 계림 신해로라 ≪1617 동삼 충:1ㄴ≫
우리 나라 禮ㅣ 여  번 뎡 후 고티디 아니니 ≪1676 첩신-초 3:24ㄱ
18세기 : (나랗, 나라)
나라희 졍 法이 이실  이예 다시 의論 아니노라 ≪1737 어내 1:57ㄴ
仁義 나라 다리 本이어 ≪1737 어내 2:89ㄱ
크게 문도 흥여 모든 나라이 아을 보내여 에 드러시니 진실로 나라흘 다리고져 면 문을 아니고 엇디 리오 ≪1764 어조 05ㄱ
나라를 다리고져 면 민이 아니오 엇디며 ≪1764 어조 10ㄴ
19세기 : (나랗, 나라, 나, 라)
이제 혜셩이 졍히  나라흘 향지라 이러므로 슬허노라 ≪1852 태상 4:02ㄴ
대쳥이 나라를 졍 지 이여 년의 승평미 오지라 ≪1880 과화 10ㄴ
노나 이라 ≪1880 삼성 교유문:1ㄴ
라를 창업단 말이라 ≪1882 척사윤음 2ㄱ

관용구·속담(6)

속담나라가 망하면 충신이 욕을 본다
한 나라의 충신들은 나라와 흥망을 같이함을 이르는 말.
속담나라가 어지러우면 충신이 난다
가난한 집에는 부모를 공대하는 효자가 나오고, 나라가 어지러워 반역의 무리가 날뛸 때에는 그를 반대하여 싸우는 충신이 나오게 된다는 말. <동의 속담> ‘집이 가난하면 효자가 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충신이 난다
속담나라 고금도 잘라먹는다
사람이 지나치게 이기적이고 욕심이 사나워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나라님 만든 관지 판 돈도 자른다’ ‘상납 돈도 잘라먹는다
속담나라 없는 백성은 금수보다도 못하다
나라가 없는 백성의 처지가 몹시 고달프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나라 없는 백성은 상가집 개만도 못하다
속담나라 없는 백성은 상가집 개만도 못하다
나라가 없는 백성의 처지가 몹시 고달프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나라 없는 백성은 금수보다도 못하다
속담나라의 쌀독이 차야 나라가 잘산다
나라가 잘되려면 무엇보다도 식량 사정이 좋아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