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거문고

- 품사
- 「명사」
- 분야
-
『음악』
- 「001」우리나라 현악기의 하나. 주로 오동나무로 만든, 길쭉한 네모 모양의 통 위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여섯 개의 줄을 걸쳐 만든다.
- 거문고를 뜯다.
- 거문고를 울리다.
- 거문고를 타다.
- 총은 날마다 하는 일과대로 양화도 자기 집 누마루에 올라앉아 거문고를 당기어 놓고 한 곡조를 뜯었다.≪박종화, 금삼의 피≫
- 제 집에는 낮에도 인기척이 없으면 사슴이 울 안으로 찾아 들어오고, 밤에는 거문고를 뜯기도 하는데, 선조의 공음(功蔭)으로 이나마 독서에 풍류에 편안히 지냅니다.≪황석영, 장길산≫
- “그 거문고 소리 장히 웅장하고 좋다.”≪김열규, 왜 사냐면, … 웃지요, 궁리출판, 2003년≫
- 달 아래 거문고 타고 바람에 젓대를 읊조리면 그만이다.≪조지훈, 조지훈 전집, 나남출판, 1997년≫
역사 정보
거믄고(15세기~19세기)>거문고(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거문고’의 옛말인 ‘거믄고’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ㅁ’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 모음화 됨에 따라 ‘거믄고’도 ‘거문고’가 되었다. 18세기부터 ‘거믄고’와 원순 모음화를 겪은 ‘거문고’가 공존하다가 ‘거문고’가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와 19세기에 나타나는 ‘검은고’는 ‘거믄고’의 과잉 분철 표기이다. 15세기의 ‘거믄고’는 ‘거믄’과 ‘고’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믄’은 형용사 ‘검-’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한 ‘검은’의 연철 표기이고 ‘고’는 현악기를 뜻하는 명사이다. |
---|---|
이형태/이표기 | 거믄고, 검은고, 거문고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거문고 인 놈이 춤을 추면 칼 쓴 놈도 춤을 춘다
- 자기는 도저히 할 만한 처지가 아닌데도 남이 하는 짓을 덩달아 흉내 내다가 웃음거리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비단 올이 춤을 추니 베올도 춤을 춘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