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데리다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데리고’, ‘데리러’, ‘데려’ 꼴로 쓰여)) 아랫사람이나 동물 따위를 자기 몸 가까이 있게 하다.
- 개를 데리고 산책하다.
- 아이를 데리러 가다.
- 그는 아들을 항상 데리고 다닌다.
- 아들이고 딸이고 낳아 본 적도 없는 작은숙부는 한때 시골 형님의 딸을 데려다 길러 보려고 한 적이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순점이는 남편이 죽은 뒤에 의탁할 곳 없는 친정어머니를 데려다가 세 식구가 솥발처럼 의지하고 살아간다.≪이기영, 신개지≫
- 다행히 밥 지어 주고 옥바라지할 하인 한 명씩 데려 들어가는 것은 허락해 주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관련 어휘
- 높임말
- 모시다
- 지역어(방언)
- 더리다(경기), 데빌다(경기, 경남), 더불-이다(경남), 델다(경남, 전북, 충남), 득다(경남), 딜다(경북, 충북), 데불다(경상, 함경, 황해), 더부르다(전남), 디리다(전남), 데루다(전북), 들다(전북), 다리다(제주), 달다(제주), 대불다(평북), 대빌다(평북), 더부리다(함북)
- 옛말
- 리다
역사 정보
리다(15세기~18세기)>리다(19세기)>데리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데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ㅏ, ㅓ’를 가지는 단어는 후행하는 ‘ㅣ’모음의 영향으로 ‘ㆎ, ㅐ, ㅔ’가 되는 ‘ㅣ’모음 역행 동화를 겪게 되는데, 이에 따라 19세기에는 ‘리다’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20세기 이후 ‘데리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리다, 리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