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데리다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데리고’, ‘데리러’, ‘데려’ 꼴로 쓰여)) 아랫사람이나 동물 따위를 자기 몸 가까이 있게 하다.
개를 데리고 산책하다.
아이를 데리러 가다.
그는 아들을 항상 데리고 다닌다.
아들이고 딸이고 낳아 본 적도 없는 작은숙부는 한때 시골 형님의 딸을 데려다 길러 보려고 한 적이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순점이는 남편이 죽은 뒤에 의탁할 곳 없는 친정어머니를 데려다가 세 식구가 솥발처럼 의지하고 살아간다.≪이기영, 신개지≫
다행히 밥 지어 주고 옥바라지할 하인 한 명씩 데려 들어가는 것은 허락해 주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역사 정보

리다(15세기~18세기)>리다(19세기)>데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데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ㅏ, ㅓ’를 가지는 단어는 후행하는 ‘ㅣ’모음의 영향으로 ‘ㆎ, ㅐ, ㅔ’가 되는 ‘ㅣ’모음 역행 동화를 겪게 되는데, 이에 따라 19세기에는 ‘리다’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20세기 이후 ‘데리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리다, 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리다)
王이 釋種 리시고  활 쏘기 받더시니 ≪1447 석상 3:13ㄱ
羅睺羅 어마님 耶輸陁羅 比丘尼  眷屬 려 와 겨시며 ≪1447 석상 13:3ㄴ
16세기 : (리다)
네 모로매 나를 려 벋 지 $ 가고려 ≪1510년대 번노 상:7ㄴ-8ㄱ
다 살 머근 아기 리고 三年을 아나죄 무덤 겨틔 나디 아니더니 ≪1514 속삼 열:19ㄱ
17세기 : (리다)
혼자 어린 아 리고 수플 가온 수멋다가 ≪1617 동신속 열8:37ㄴ≫
季冬애 아 려 受苦로이 蜀門으로 가노라 ≪1632 두시-중 1:27ㄱ
18세기 : (리다)
二位 兄이 小子 려 三鍾을 먹음이 언머 이 됴커니녀 ≪1721 오륜전비 1:3ㄴ
婦ㅣ 졷디 아니고 홀로 少子 리고 잇더니 ≪1737 여사 4:58ㄴ-59ㄱ
19세기 : (리다, 리다)
즉시 관속을 리고 몸소 나아가 터진 곳을 막을 ≪1852 태상 2:42ㄱ
쥬ㅣ 날 져믈 때에 십일종도 리고 거긔 니러 ≪1892 성직 4:24ㄴ
피나토 이 말 듯고 예수 리고 나가 공사에 안즈니 ≪1887 성전 요한복음 19:1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