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닫쌔

- 품사
- 「명사」
- 「001」다섯 날.
- 닷새 동안 교육을 받다.
- 친척 집에서 닷새를 지내다.
- 닷새 뒤에 다시 만납시다.
- 그가 떠난 지 닷새가 되었다.
- 작전은 다음 주부터 닷새 내지 열흘 사이에 완료되어야 합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큰 홍수를 빚어낸 무서운 비는 내리기 시작한 지 닷새 만에야 겨우 완전히 그쳤다.≪박화성, 홍수 전후≫
- 염주근과 다른 십장 다섯 명은 다니가키를 찾아갔다가 행방이 묘연해진 지 닷새 만에 친구들 앞에 모습을 나타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그랬는데 결혼을 앞둔 닷새 전에 기서로부터 속세를 버리겠다는 뜻밖의 편지가 날아들었던 것이다.≪박경리, 토지≫
- 성깔 있는 장꾼들도 닷새마다 열리는 장터를 휩쓰는 종대를 당해 내지 못했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닷쉐(경남, 제주), 다새(경상), 대세(전남), 댓새(평안, 중국 요령성)
역사 정보
닷쇄(15세기~17세기)>닷새(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닷새’의 옛말인 ‘닷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ㅗ’가 탈락한 ‘닷새’가 등장하였다. 표기상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이 시기 모음 ‘ㅐ’는 이중 모음([ay])이었는데, 근대 국어 후기에 ‘ㅐ’가 ‘[ɛ]’로 단모음화하면서 현대 국어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닷쇄, 닷새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닷새를 굶어도 풍잠 멋으로 굶는다
- 체면 때문에 곤란을 무릅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