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오랫동안 계속하여 비가 내리지 않아 메마른 날씨.
가물이 들다.
가물을 타다.
이 샘은 웬만한 가물에도 물이 잘 마르지 않는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믈(17세기~18세기)>물(18세기)>가물(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물’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17세기에는 ‘믈’ 형태가 나타났다. 18세기에는 ㅁ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화하는 원순모음화에 의하여 ‘믈>물’의 변화를 겪은 ‘물’이 나타난다. 또한 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하면서 ‘가물’ 형태가 등장하여 오늘날에 이른다.
이형태/이표기 , 믈, 물, 가물, 가믈
세기별 용례
15세기 : ()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니 ≪1447 용가 2
水 마히오 旱 리라1459 월석 23:6ㄴ
蓮叔이 닐오 큰 므리 하해 다로 디 아니며 큰 래 쇠돌히 흐르며 山土ㅣ 이우로 덥디 아니니 ≪1463 법화 2:28ㄱ
楚ㅅ 뫼해  리 디나록 블 브티니 큰 리어든 이어 드러 니라 ≪1481 두시-초 25:11ㄴ
16세기 : ()
믈디며 이 잇거든 반시 젼긔야 이며 군 머글 거슬 창의 녀호 반시 精고 만케 며 ≪1588 소언 6:113ㄴ
17세기 : (, 믈)
애 山嶽이 니 어드운 구루미오  비 업도다 ≪1632 두시-중 12:40ㄴ
믈의도 디 아니 댱뉴슈로 이 달혀  한김을 낸 후의 시 덥게 야 ≪17세기 두경 29ㄱ
18세기 : (, 믈, 물, 가물)
매 不幸야 아홉 믈과 닐곱 리 이시면 쟝 어 法으로  賑휼시리잇고 신대 ≪1737 어내 2:95ㄴ
기음  제 냥식이 업서도 블샹히 너기디 아니야 비록 댱마와 믈이 업서도  그 효험이 업니 ≪1756 어훈 가색편:2ㄱ
조 승샹이 어진 이 구 거시 큰 믈의 비 빌기 다 더니 ≪1774 삼역 6:5ㄴ
天旱 물1790 몽해 상:4ㄴ
가물과 쟝마의 즁인을 챵솔야 물을 트며 방쥭을 다려 빈인을 구졔며 ≪1796 경신 78ㄴ
19세기 : (가믈, 감울)
대뎌 텬연 하슈길이 쟝마를 만난 넘지고 가믈을 만난 마르고로 ≪1883 이언 4:11ㄴ
감울 한 旱 ≪1895 국한 9

관용구·속담(6)

속담가물 그루터기는 있어도 장마 그루터기는 없다
가뭄은 아무리 심하여도 얼마간의 거둘 것이 있지만 큰 장마가 진 뒤에는 아무것도 거둘 것이 없다는 뜻으로, 가뭄에 의한 재난보다 장마로 인한 재난이 더 무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속담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가뭄은 아무리 심하여도 얼마간의 거둘 것이 있지만 큰 장마가 진 뒤에는 아무것도 거둘 것이 없다는 뜻으로, 가뭄에 의한 재난보다 장마로 인한 재난이 더 무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가물 그루터기는 있어도 장마 그루터기는 없다
속담가물에 단비
가뭄이 들어 곡식이 다 마를 때에 기다리던 비가 온다는 뜻으로, 기다리고 바라던 일이 마침내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속담가물에 도랑 친다
가물에 돌 친다’의 북한 속담.
속담가물에 돌 친다
물이 없는 가뭄에 도랑을 미리 쳐서 물길을 낸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사전에 미리 준비를 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가물에 콩(씨) 나듯
가뭄에는 심은 콩이 제대로 싹이 트지 못하여 드문드문 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물건이 어쩌다 하나씩 드문드문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