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까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4」가까운 곳.
나는 회사 가까이로 이사를 했다.
가까이에서 놀도록 해라.
곧 행군이 시작될 테니까 멀리 가지 말고 가까이에 대기하고 있게.≪홍성원, 육이오≫
차에서 내리는 찬하를 먼발치로 바라보며 움직이지 않았다. 그는 찬하가 가까이까지 가는 동안 줄곧 찬하를 바라보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그들은 강심이 얕은 토지 쪽으로 강을 건너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지 않고서는 읍 가까이까지 가서 다리를 건너야 하는데, 아무래도 날이 새기 전에 읍에 당도할 수가 없을 것 같았다.≪문순태, 피아골≫
차성희의 집으로 가기 위한 버스를 타려면 아직 백 미터쯤은 걸려야만 했다. 버스 정거장 가까이에 와서 안민숙이 물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시동은 한참만에야 걸렸지만 차는 제대로 달리질 못했다. 적은 이미 가까이까지 달려오고 있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강둑 가까이 나무 한 그루만이 우두커니 싱겁게 서 있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갓가(15세기)>갓가이(15세기~19세기)>가까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까이’의 옛말인 ‘갓가’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갓가’는 형용사 ‘갓-’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파생어이다. 15세기 중반 이후 ‘ㅸ’ 소리가 사라지면서 ‘갓가’는 ‘갓가이’로 변화하였다. 근대국어 시기에 ‘갓가이>가까이’의 변화가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문헌에는 19세기까지도 ‘갓가이’ 형태만이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갓가, 가, 갓가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갓가, 가, 갓가이)
和尙 갓가 이셔 외오다 논 마리니 弟子ㅣ 녜 갓가 이셔 經 호아 외올 씨니 ≪1447 석상 6:10ㄱ
모미 솟라 돌해 드르시니  거우루 야 소개 겨신 그르메  뵈더니 머리 이션 보고 가 완 몯 보리러라 ≪1459 월석 7:55ㄱㄴ
優婆塞 優婆夷 닐오 佛法을 갓가이 셤기 男女ㅣ라 ≪1461 능엄 6:19ㄱ
16세기 : (갓가이)
머리셔 라매 노피 하해 다핫고 갓가이셔 보니 아라히 하햇 므레 겻니 ≪1510년대 번박 68ㄱ
 그 이 엿보디 말며 과 갓가이 야 서르 므더니 너기게 말며 ≪1518 번소 4:13ㄴ-14ㄱ
17세기 : (갓가이)
비린내 누린내 머리터럭  내 갓가이 마티디 말라 ≪1608 언두 하:43ㄱ
18세기 : (갓가이)
갓가이 오라 내 닐러든 네 드르라 ≪1721 오륜전비 2:7ㄴ
19세기 : (갓가이)
군 갓가이 고 쇼인을 먼리 며 ≪1883 이언 2:5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