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속ː발음 듣기]
활용
속만[송ː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7」감추어진 일의 내용.
겉으로는 화려하게 보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힘들고 괴로운 일이 많다.

역사 정보

솝(15세기~17세기)>속(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속’의 옛말인 ‘솝’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엌”을 뜻하는 ‘부’이 ‘부억’이 되는 등 국어사에서는 ‘ㅂ’과 ‘ㄱ’이 바뀌는 현상이 종종 보이는데 ‘솝’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15세기에 ‘속’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7세기까지 ‘솝’과 ‘속’이 공존하다가 18세기 이후 ‘속’으로만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솝, 속
세기별 용례
15세기 : (솝, 속)
涅槃僧은 솝오시라1461 능엄 5:19ㄱ
그 因緣으로 여슷   소배셔 몯 나니라 ≪1447 석상 3:37ㄴ
너를 依藉야 져근 울헤 디르고 뷘 대로 반개 지여 요리라 ≪1481 두시-초 25:2ㄴ
骨髓는  소개 잇 기르미라 ≪1459 월석 1:13ㄱ
16세기 : (솝, 속)
 ≪1527 훈몽 상:17ㄴ
젹삼 고의 고두류엣 속오스란 안직 니디 마져 ≪1510년대 번박 26ㄴ
17세기 : (솝, 속)
말미 君臣ㅅ 이예 밋니 글워리  소배 얫도다 ≪1632 두시-중 8:52ㄱ
몸이 덥달고  턍만고 귀 소개 돋고  소개 돋고 ≪1608 언두 상:50ㄴ
黃笭 서근 플 ≪1613 동의 3:6ㄱ
18세기 : (속)
靑蛇ㅣ 플 속의 藏엿니 左邊으로 오면 左로 막고 ≪1721 오륜전비 8:18ㄴ
19세기 : (속)
유린이 벅벅이 과거를 어들너니 어버이를 셤기 속으로 비방고 ≪1876 남궁 12ㄴ

관용구·속담(53)

관용구속에(서) 방망이가 치밀다
분한 마음이 복받쳐 오르다.
  • 그의 괘씸한 언사를 생각하면 속에서 방망이가 치밀어 잠이 오질 않는다.
관용구속에 얹히다
마음에 걸리는 일이 있어 언짢다.
  • 생일날 아침상을 차려 주지 못한 것이 내내 속에 얹힌다.
관용구속에 없는 말[소리]
속마음과 다르게 하는 말.
  • 괜히 속에 없는 말을 하지 말고 본심을 털어놓게.
관용구속(을) 긁다
남의 속이 뒤집히게 비위를 살살 건드리다.
  • 아내는 아침부터 속 긁는 소리를 해 댔다.
관용구속(을) 끓이다
마음을 태우다.
  • 그녀는 한평생을 자식 문제로 속 끓이고 살아왔다.
  • 군에 간 자식 생각으로 속을 끓이신 어머니는 제대로 먹지도 못하시고 주무시지도 못하셨다.
관용구속을 달래다
좋지 아니한 위장의 상태를 좀 편안하게 만들다.
  • 해장국으로 속을 달래다.
관용구속(을) 뜨다[떠보다]
남의 마음을 알려고 넘겨짚다.
  • 속을 떠보려는 수작.
  • 넌지시 속을 떠보다.
관용구속을 말리다
남을 매우 초조하고 안타깝게 하다.
관용구속(을) 빼놓다
줏대나 감정을 억제하다.
  • 속을 빼놓고 살아야지 제대로 정신 차리고는 살 수 없는 세상이야.
관용구속(을) 빼다
한 논을 두 번째 갈다.
관용구속(을) 뽑다
일부러 남의 마음을 떠보고 그 속내를 드러나게 하다.
  • 술 몇 잔으로 그의 속을 뽑으려 했다.
관용구속(을) 상우다
마음에 쓰라린 일이 있어 정신에 고통을 주다.
관용구속(을) 썩이다
뜻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좋지 못한 일로 몹시 괴로워하다.
  • 벙어리 냉가슴 앓듯 혼자 속을 썩였다.
  • 그는 무슨 심화가 있으면 집에 꾹 들어박혀서 혼자 속을 썩이는 버릇이 있다. ≪한설야, 황혼≫
관용구속을 쓰다
걱정하거나 염려하다.
  • 하나 있는 자식 놈을 위해 속을 쓰는 것도 이제는 지쳤다.
관용구속(을) 주다[터놓다]
마음속에 있는 것을 숨김없이 드러내 보이다.
  • 그는 사람들과 원만하게 지냈지만 사실은 누구에게도 속을 주지는 않았다.
  • 그와 나는 속을 터놓고 지내는 사이다.
관용구속(을) 차리다
지각 있게 처신하다.
  • 속을 차릴 나이가 되다.
관용구속(을) 태우다
몹시 걱정이 되어 마음을 졸이다.
  • 씨 뿌릴 철인데 비가 내리지 않아 농민들이 한창 속을 태우고 있다.
관용구속이 깜깜하다
아무 생각도 떠오르지 아니하거나 무엇을 전혀 모르다.
  • 택근이는 속이 깜깜해서 대답은 못하고 얼굴이 붉어지게 되였다. ≪석개울의 새봄, 선대≫
관용구속이 꼬이다
마음이 틀어지다.
관용구속이 꼴리다
맞갖지 아니한 일을 당하여 몹시 부아가 나다.
관용구속이 꿈틀거리다
매우 맞갖지 아니하거나 몹시 성이 나다.
  • 어지간히 속이 꿈틀거렸으나 그런대로 참고 목소리를 낮추었다. ≪백양나무, 선대≫
관용구속이 끓다
화가 나거나 억울한 일을 당하여 격한 마음이 속에서 치밀어 오르다.
  • 누명을 쓴 아버지는 속이 끓어 잠을 못 주무셨다.
관용구속이 내려가다
화를 냈거나 토라졌던 감정이 누그러지다. <동의 관용구> ‘속(이) 풀리다
관용구속(이) 뒤집히다
비위가 상하여 욕지기가 날 듯하게 되다.
  • 역겨운 냄새가 풍겨 와 속이 뒤집힐 것만 같았다.
관용구속(이) 들다
철이 들거나 실속을 차리게 되다.
관용구속이 들썩하다
마음이 진정되지 않고 어수선하다.
  • 성님, 나두 속이 들썩해서 흰소리를 한번 해 봤수다. ≪415 문학창작단, 근거지의 봄≫
관용구속이 떨리다
마음속으로 몹시 겁이 나다. <동의 관용구> ‘간이 떨리다
  • 너무 두려워 속이 떨린다.
관용구속이 마르다
성격이 꼬장꼬장하다.
관용구속(이) 보이다
엉큼한 마음이 들여다보이다.
  • 빤히 속이 보이는 소리를 하다.
관용구속(이) 살다
겉으로는 수그러진 듯하나 속에는 반항하는 마음이 있다.
  • 원체 싹싹하고 가벼운 사람이기는 하지만 속이 살고 악지가 센 품으로 보아서는 이렇게 그 자리에서 머리를 숙이고 잘못했다고 빌 줄은 몰랐다. ≪염상섭, 대목 동티≫
관용구속(이) 시원하다
좋은 일이 생기거나 나쁜 일이 없어져서 마음이 상쾌하다.
  • 내 속을 태워야 속이 시원하겠니?
  • 그 말을 들으니 삼 년 묵은 체증이 내려간 듯 속이 시원했다.
  • 우리가 망하는 꼴을 보아야 속이 시원하겠니?
관용구속이 시커멓다
마음이 깨끗하지 아니하고 엉큼하거나 음흉하다.
  • 그는 속이 시커먼 녀석이라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다.
관용구속이 열리다
적이 안심이 되다.
  • 분위기가 안온해지자 그는 은근히 속이 열렸다. ≪선대≫
관용구속이 오르다
푸성귀의 속대가 점점 자라서 커지다.
관용구속이 치밀다
기분이 언짢아 분한 마음이 복받쳐 오르다.
  • 전에는 은근히 선정적으로 느껴지기까지 하던 것이었으나, 명훈은 그걸 읽자 울컥 속이 치밀었다. ≪이문열, 변경≫
관용구속(이) 타다
걱정이 되어 마음이 달다.
  • 남은 속이 타는 줄 모르고 유유자적이다.
  • 저번에 조카며느리가 뚱기어 주듯이, 방에 들여다 놓았다면 하는 후회에 또한 겹으로 속이 탔다. ≪염상섭, 위협≫
관용구속(이) 트이다
마음이 넓고 언행이 대범하다.
  • 그는 속이 트인 사람이니까 내가 사죄를 하면 용서해 줄 것이다.
관용구속(이) 풀리다
화를 냈거나 토라졌던 감정이 누그러지다. <동의 관용구> ‘속이 내려가다
  • 실컷 패 주어도 속이 풀릴 것 같지 않다.
관용구속이 한 줌만 하다[해지다]
몹시 걱정스럽거나 송구스러워 기를 펼 수 없고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 그가 알고 말하는 것만 같아 속이 한 줌만 해진다. ≪선대≫
관용구속이 환해지다
근심이 없어져 가슴이 시원해지다.
  • 속이 환해진 한 씨는 달구지 옆에 붙어 서서 소를 몰아 주었다. ≪축원, 선대≫
속담속 각각 말 각각
하는 말과 생각이 서로 다른 경우를 이르는 말.
속담속 검은 놈일수록 흰 체하다
심보가 못되고 검은 속마음을 품은 사람일수록 겉으로는 깨끗하고 착한 것처럼 꾸민다는 말.
속담속 검은 사람일수록 비단 두루마기를 입는다
잘못이나 죄를 저질러 뒤가 켕기는 사람일수록 그것을 감추기 위하여 갖은 술책을 다 꾸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속 빈 강정(의 잉어등 같다)
겉만 그럴듯하고 실속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사탕붕어의 겅둥겅둥이라
속담속에 구렝이가 들어앉다
주로 어린이나 어리숙하게 보이는 사람이 겉보기와는 다르게 아는 것이 많거나 속궁리가 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속에 령감이 들었다[들어앉다]
속담속에 대감이 몇 개 들어앉았다
어수룩하게 보이지만 능글맞아 온갖 것을 다 알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속에 령감이 들었다[들어앉다]
주로 어린이나 어리숙하게 보이는 사람이 겉보기와는 다르게 아는 것이 많거나 속궁리가 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속에 구렝이가 들어앉다
속담속에 뼈 있는 소리
말의 내용에 심각한 뜻이 담겨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속에서 쪼르륵 소리가 난다
뱃속이 비어 소리가 난다는 뜻으로, 배가 매우 고프다는 말.
속담속으로 기역 자를 긋는다
어떤 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결정짓고 마음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속으로 호박씨만 깐다
어리석은 듯하지만 의뭉한 데가 있어 제 실속은 다 차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속이 먹통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속이 빈 깡통이 소리만 요란하다
실속 없는 사람이 겉으로 더 떠들어 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빈 수레가[달구지가] 요란하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