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그대발음 듣기]
품사
「대명사」
「001」듣는 이가 친구나 아랫사람인 경우,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하게할 자리나 하오할 자리에 쓴다.
그대 뜻에 따르겠소.
그대가 좋으실 대로 하시오.
그대들은 장차 이 나라의 일꾼이 될 사람이다.
“이곳을 지켜서 적과 한번 싸우지 아니하면 백대의 부끄러운 추명을 들을지라, 나는 이것을 사수하려 하니 그대의 뜻이 어떠하오?” 청년 장군 정기룡은 주저치 않고 대답한다.≪박종화, 임진왜란≫
“그럼 그대도 저 울릉도에나 가서 나라 하나 세우게.” 히죽히죽 웃고 있던 이석영이 느닷없이 말했다.≪박경리, 토지≫
그대 이외에 이 큰 임무를 맡길 사람이 없으니 경은 사양하지 말라.”≪박종화, 임진왜란≫
“급히 만나고 싶은데 아래와 같은 장소와 때가 어떨는지? 그대 사정에 따라 고쳐도 무방하오.”≪박완서, 도시의 흉년≫
그대 군부대신은 과인과 이 세자의 얼굴을 똑똑히 보라!”≪유주현, 대한 제국≫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궈래(함북)
옛말
그디, 그, 그-듸

역사 정보

그(15세기~19세기)>그대(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그대’의 옛말인 ‘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면서 이중모음 ‘ㆎ’[ʌy]가 이중모음 ‘ㅐ’[ay]로 바뀌는 변화가 일어나고 이 이중모음 ‘ㅐ’[ay]가 다시 단모음 [ɛ]로 변화했는데, ‘그’의 제2음절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19세기에 ‘그대’로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에 ‘그’와 ‘그대’가 공존하다가 ‘그대’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에 현대 국어 ‘그대’와 관련된 형태는 ‘그’뿐 아니라 ‘그듸, 그디’가 공존하였다. ‘그디’의 존재를 고려할 때 15세기의 ‘그, 그듸’는 기원적으로 지시관형사 ‘그’와 명사 ‘’, 처격조사 ‘/의’가 결합한 형태로, ‘그디’는 지시관형사 ‘그’와 명사 ‘’, 주격조사 ‘ㅣ’가 결합한 형태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디’의 경우는 17세기까지, ‘그듸’의 경우는 18세기까지 ‘그’와 공존하였는데 이후 ‘그’만이 남게 되어 현대 국어 ‘그대’로 이어진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그, 그듸, 그디, 그대
세기별 용례
15세기 : (그, 그듸, 그디)
그 보디 아니다 ≪1481 두시-초 3:70ㄱ
對答호 그듸 아니 듣더시닛가 ≪1447 석상 6:17ㄱ
내 이 고 나리니 願 내 生生애 그딧 가시 외아지라 ≪1459 월석 1:11ㄴ
16세기 : (그, 그듸, 그디)
그 님금 겨신  안해 니며 괴이 신해니 ≪1518 번소 9:43ㄱ
그듸 쇽을 허러 리 사미라 ≪1518 번소 7:12ㄴ
그디 두 식 잇거니 주근 므스기 뉘웃브료 ≪1518 이륜-옥산 14ㄱ≫
17세기 : (그, 그듸, 그디)
나 당당이 여긔 주글 거시니 그 멀리 피라 ≪1617 동신-신 열6:27ㄴ≫
그듸를 爲야 니러 都護ㅅ 놀애를 브르노니 ≪1632 두시-중 5:39ㄴ
그디를 랑야셔 그를 외오니 미 凜然도다 ≪1632 두시-중 25:41ㄴ
18세기 : (그, 그듸)
帝 샤 그  怒홈은 엇디오 ≪1737 어내 2:92ㄱ
내 願홈은 그듸와 사라셔 이티 고 죽어도  이티 고 ≪1737 어내 2:22ㄴ
19세기 : (그, 그대)
관원이 이의 깃거 왈 그 가히 나가리로다 거 ≪1852 태상 2:22ㄴ
그대 군 君 ≪1895 국한 4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