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둥우리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3」새 따위가 알을 낳거나 깃들이기 위하여 둥글게 만든 집.
날이 저물면 새들도 둥우리로 찾아든다.
학의 새끼는 이제 제법 짝짝 둥우리 속에서 소리를 지르기 시작하였다.≪이범선, 학마을 사람들≫
까치는 날개가 찢어지게 나뭇가지를 물어 나르며 둥우리를 만들고 흙벽을 뜯어 먹으면서도 아기는 자란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두으리(16세기)>둥울(17세기~18세기)>둥우리(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둥우리’의 옛말인 ‘두으리’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으리’는 ‘*두을’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는 ‘둥울’로 나타나는데, ‘두으리’가 2음절 형태로 축약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두을’이 ‘둥울’로 변화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19세기에 ‘둥울’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둥우리’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두으리, 둥울, 둥우리
세기별 용례
16세기 : (두으리)
두으리 피 오 셕 바굴에 ≪1510년대 번노 하:30ㄱ
두으리예 금실로 입 견 바갓고 ≪1510년대 번박 상:28ㄱ
17세기 : (둥울)
둥울 등피 오랑 혁 바구레 ≪1670 노언 하:27ㄱ
둥울 우희 金 입 事件을 박앗고 ≪1677 박언 상:26ㄴ
鴈翅板 둥울1690 역해 하:19ㄴ
18세기 : (둥울)
鞍翅板 둥울1778 방유 해부:6ㄴ
둥울 등피 오랑 혀쇠 쥬락 바구레 ≪1795 노언-중 하:28ㄴ
19세기 : (둥우리)
둥우리 竹簍 ≪1810 몽유 상:12ㄱ
마치 가 둥우리에 버셔남 야 ≪1892 성직 7:34ㄱ
둥우리 窩 ≪1895 국한 87

다중 매체 정보(1)

  • 둥우리

    둥우리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