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보금자리

- 품사
- 「명사」
- 「001」새가 알을 낳거나 깃들이는 곳.
- 새들이 보금자리를 틀다.
- 보금자리에서 새가 새끼를 치다.
- 해 질 무렵 황새가 보금자리로 날아들었다.
- 해가 뉘엿뉘엿 서쪽에 떨어지고 새들이 보금자리를 찾아 날아갈 때 용이는 빈 지게를 지고 집으로 돌아온다.≪박경리, 토지≫
- 어둠이 깃들자 비둘기들이 돌아오기 시작했다. 새끼 비둘기들은 열린 창문을 넘어 자신의 보금자리로 기어들고 큰 놈들은 지붕 위로 또는 나뭇가지에 걸린 자신의 둥우리로 기어들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역사 정보
보곰자리(17세기)>보금자리(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보금자리’의 옛말인 ‘보곰자리’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보금자리’는 ‘보금’과 ‘자리’의 합성어로 ‘자리’는 15세기부터 쓰였으나 ‘보금’은 ‘보곰’이 17세기부터 쓰였을 뿐 정확한 뜻을 알 수 없다. 18세기에는 ‘자리’의 ‘아’가 이중 모음 ‘야’로 표기된 ‘보곰쟈리’가 쓰였는데 이것은 이 시기에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반대로 원래 단모음이던 ‘자리’가 이중 모음으로 표기된 예에 해당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보곰자리, 보곰쟈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관용구보금자리(를) 치다
- 보금자리를 만들다.
- 까치가 고목에 보금자리를 쳤다.
- 속담보금자리 사랑할 줄 모르는 새는 없다
- 새조차도 제 보금자리를 극진히 사랑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가족과 가정을 사랑하고 소중히 여겨야 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