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거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3」모범이나 교훈이 될 만한 것.
그는 모든 사람의 거울이 될 만큼 여러 면에서 훌륭한 사람이다.
선생의 그 고귀한 인품은 저를 뜨겁게 감동시키고, 바로 이 추악한 남쪽 세상을 비추어 보이는 맑은 거울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이호철, 문≫
우리는 한때의 실패로서 낙망을 해서는 안 될 것이요. 이것을 거울 삼아서 미래의 운동을 더욱 잘 하게 된다면 실패가 곧 성공의 어머니가 되겠지요.≪한용운, 흑풍≫
지난날 공을 거울로 매양 나의 득실을 살폈거든, 이제 그 거울이 깨졌으니 어디서 나의 득실을 살필 수 있으리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형편없는 혼란보다 그 편이 낫지 않을까, 소련 공산당이 범하고 있는 과오를 거울로 삼아 진정한 공산주의의 이상을 살리는 당을 만들 수는 없을까!≪이병주, 지리산≫
아무 일도 않고 흥뚱항뚱 다니며 놀이만 하는 사람들에게 거울이 될 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였다.≪한용운, 흑풍≫

역사 정보

거우루(15세기~17세기)>거울(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거울’의 옛말인 ‘거우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7세기에는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탈락한 ‘거울’ 형태가 등장하였다. 한편 16, 17세기 문헌에는 ‘거우루’와 함께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양성모음 ㅗ로 바뀐 ‘거우로’ 형태도 보이고, 17세기 이후 문헌에는 ‘거울’과 함께 단어 내부의 모음조화가 파괴된 ‘거올’ 형태도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거우루, 거우로, 거울, 거올
세기별 용례
15세기 : (거우루)
 각시 아 粉 노라 야 거우룰 보거늘 그 새 거우루엣 제 그르멜 보고 우루리라 거늘 ≪1447 석상 24:20ㄱ-ㄴ
鏡은 거우뤼라1459 월석 4:13ㄴ
16세기 : (거우루, 거우로)
 妙 브터 고미니 거우루의 빗 고 性은 고매 卽야 妙니 거우루의 얼굴 니라 ≪1569 선가 9ㄴ
거우루 감 ≪1583 천자-석 30ㄱ
거우로  鑑 거우로 감 ≪1527 훈몽 중:7ㄴ
17세기 : (거우루, 거우로, 거울, 거올)
司徒의  보믄 근 거우뤼 랫 고 尙書의 氣運은  하와 다 아라도다 ≪1632 두시-중 4:17ㄱ
이예 거우로 려 신을 여 나 머므루다 ≪1617 동신속 열1:2ㄴ≫
 시스며 머리 비수믈 묻니 衰暮  거울로 보 붓그리노라 ≪1632 두시-중 1:50ㄱ
이티 면 이 근 거울의 드틀 업미 며 ≪17세기 여훈 하:23ㄱ
鏡奩 거올집1690 역해 하:15ㄱ
18세기 : (거울, 거올)
 거우리 며 니 可히 조심티 아니랴 ≪1737 어내 서:7ㄴ
거울 경 鏡 ≪1781 왜해 상:44ㄴ
그러므로 아 이 지어 경계 거올을 삼으시니 ≪1746 자성 외:11ㄱ
19세기 : (거울)
거울을 공즁의 고 혹  오  이시면 그 ≪1852 태상 5:64ㄱ
거울이 사의 얼골을 온젼이 빗최여 ≪1865 주년 4ㄱ
거울 鏡 ≪1880 한불 14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본보기상위어본말/준말귀감귀경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거울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