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라지다

- 활용
- 사라지어[사라지어



- 품사
- 「동사」
- 「003」‘죽다’를 달리 이르는 말.
- 지난 수백 년 동안 세상에는 많은 인물이 나고 또한 사라졌다.
역사 정보
라디다(15세기~18세기)>사라디다(18세기)>사라지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사라지다’의 옛말인 ‘라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불을 놓다”의 뜻인 ‘다’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된 ‘라’와 “없어지다”의 뜻인 ‘지다’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소실로 ‘라’가 ‘사라’로 변하였으며 ‘ㅣ’ 모음 앞의 ‘ㄷ’이 ‘ㅈ’으로 구개음화되어 ‘디다’가 ‘지다’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사라디다’에서 ‘사라지다’로 바뀌어 현재 어형으로 정착되었다. 이 구개음화 현상은 빠르게는 16세기부터 목격되지만 ‘사라디다’가 ‘사라지다’로 바뀌는 현상은 19세기에서야 일반화된 것으로 보인다. ‘라디다’가 ‘아디다’로 ‘라지다’가 ‘아지다’로 ‘사라지다’가 ‘살아지다’로 쓰이는 것은 모두 연철 표기가 분철 표기로 쓰이는 현상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라디다, 아디다, 라지다, 아지다, 사라지다, 살아지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