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골고루

- 품사
- 「부사」
- 「001」‘고루고루’의 준말.
- 소장은 일을 사람들에게 골고루 분담하였다.
- 아이들에게 간식을 골고루 나누어 주었다.
- 한 사람 사병이 병이 나도 그는 손수 약을 달여서 마시게 하고, 맛있는 음식이 있으면 군사와 함께 골고루 나누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누구의 논 누구의 밭이라는 가림이 없이 비는 골고루 내리고 바람 또한 그렇게 꽃가루를 날려서 씨앗을 배게 만들었다.≪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역사 정보
골오로(18세기)>고로로(17세기~19세기)>골고로(19세기)>골고루(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골고루’의 옛말인 ‘골오로’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골오로’는 형용사 어간 ‘고-’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할 때 ‘고-’의 제2음절의 모음 ‘ㆍ’가 탈락하여 실현된 ‘골오’에 조사 ‘로’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에 와서 제2음절의 첫소리인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하면서 제1음절의 끝소리 ‘ㄹ’이 연철 표기 되어 17세기부터 ‘고로로’로 나타나게 되었다. 문헌상으로는 ‘고로로’가 17세기부터, ‘골오로’가 18세기부터 나타나 ‘골오로’가 더 후대에 나타나지만 어형상으로는 ‘골오로’가 더 고형이다. 18세기에 ‘골오로’가 나타난 문헌에 ≪어제내훈≫은 언어 변화에 있어서 보수적이기 때문에 고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9세기에 나타나는 ‘골고로’는 ‘골오로, 고로로’와는 달리 ‘고로’가 반복된 ‘고로고로’에서 축약된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의 ‘골고로’는 제3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변하여 ‘골고루’로 변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골오로, 고로로, 골고로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