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골고루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고루고루’의 준말.
소장은 일을 사람들에게 골고루 분담하였다.
아이들에게 간식을 골고루 나누어 주었다.
한 사람 사병이 병이 나도 그는 손수 약을 달여서 마시게 하고, 맛있는 음식이 있으면 군사와 함께 골고루 나누었다.≪박종화, 임진왜란≫
누구의 논 누구의 밭이라는 가림이 없이 비는 골고루 내리고 바람 또한 그렇게 꽃가루를 날려서 씨앗을 배게 만들었다.≪한수산, 유민≫

역사 정보

골오로(18세기)>고로로(17세기~19세기)>골고로(19세기)>골고루(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골고루’의 옛말인 ‘골오로’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골오로’는 형용사 어간 ‘고-’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할 때 ‘고-’의 제2음절의 모음 ‘ㆍ’가 탈락하여 실현된 ‘골오’에 조사 ‘로’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에 와서 제2음절의 첫소리인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하면서 제1음절의 끝소리 ‘ㄹ’이 연철 표기 되어 17세기부터 ‘고로로’로 나타나게 되었다. 문헌상으로는 ‘고로로’가 17세기부터, ‘골오로’가 18세기부터 나타나 ‘골오로’가 더 후대에 나타나지만 어형상으로는 ‘골오로’가 더 고형이다. 18세기에 ‘골오로’가 나타난 문헌에 ≪어제내훈≫은 언어 변화에 있어서 보수적이기 때문에 고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9세기에 나타나는 ‘골고로’는 ‘골오로, 고로로’와는 달리 ‘고로’가 반복된 ‘고로고로’에서 축약된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의 ‘골고로’는 제3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변하여 ‘골고루’로 변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골오로, 고로로, 골고로
세기별 용례
17세기 : (고로로)
深衣制도을 흰  뵈 되 마젼야 라 로 다려 여곰 고로로 닉게 고 ≪1632 가언 1:43ㄴ
황밤 대쵸 호도 곳감 네 실과  겁질 리고  오 즛허 고로로 너겨 뭉텨 ≪1660 신구 보유:20ㄱ
18세기 : (골오로, 고로로)
 골며 치워홈을 념녀며 며 편안홈을 골오로 야 장 不得已커야 비로소 지즈믈 더을 니라 ≪1737 어내 2:13ㄱ
이제 이 경를 당여 만일 크게 광탕지젼을 베퍼 내 피잔 셩으로 여곰 골오로 혜을 적시지 못게 면 ≪1784 왕세자윤음 4ㄴ
均勻 고로로1748 동해 하:27ㄱ
머러도 내 셩이오 갓가와도 내 셩이니 고로로 내 셩인디라 ≪1781 제주윤음 1ㄴ
 너 말과  너 말을 고로로 뒤져겨 섯거 잡 돌덩이 주어 내되 ≪1796 자초 3ㄴ
19세기 : (고로로, 골고로)
작말야 셜기 고 물을 고붓지게 여 덩이 업시 되게 야 르 밤을 와 션을허게 식혀 졍월 슐밋슬 부어 고로로 야 졍헌 독에 집불 쐬야 너어 ≪1869 규합 3ㄱ
거의 뎜의 잇 모 사이 후일 소망이 고로로 잇셔 샹해 일심이 되여 게얼니 미 업 거시오 ≪1883 이언 1:29ㄴ
혹 솟헤 물을 일곱 식긔만 폭폭 혀 가로을 붓고 졋지 말고 불을 조곰 너흔 후 이윽 헌 후에야 골고로 져허 퍼야 ≪1869 규합 3ㄴ
골고로 均平 ≪1895 국한 29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