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머리

- 품사
- 「명사」
- 「001」사람이나 동물의 목 위의 부분. 눈, 코, 입 따위가 있는 얼굴을 포함하며 머리털이 있는 부분을 이른다. 뇌와 중추 신경 따위가 들어 있다.
- 머리를 긁다.
- 머리를 다치다.
- 머리가 아프다.
- 머리에 모자를 쓰다.
- 그녀는 머리를 숙여 공손하게 선생님께 인사를 했다.
- 그는 머리를 갸우뚱거리며 한참을 생각하다가 얘기를 시작했다.
- 진식이의 얼굴이 굳어지면서 머리를 끄덕이더니 쓴웃음을 입가에 띠고 말했다.≪안수길, 북간도≫
- 땀을 흘려 머리가 가려웠던지 긁적거리며 임이네가 말했다.≪박경리, 토지≫
- 공터의 뙤약볕 아래 스무 명은 좋이 됨 직한 남자들이 포승에 묶여 꿇어앉아 있었다. 어떤 사람은 머리를 땅에 박은 채 엉덩이를 쳐들고 있었다.≪김원일, 노을≫
- 좌의정 정철은 다시 옆에 있는 우의정 유성룡을 눈짓해 바라본다. 그러나 우의정 유성룡은 머리를 땅에 숙인 채 전후좌우를 전혀 돌아다보지 않고 엎드려 있다.≪박종화, 임진왜란≫
역사 정보
머리(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머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5세기에 ‘머리’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던 단어로는 ‘마리’가 있다(太子ㅣ 왼소로 {마리} 자시고 ≪1447 석상 3:31ㄱ≫). |
---|---|
이형태/이표기 | 머리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48)
- 관용구머리가 가볍다
- 상쾌하여 마음이나 기분이 거뜬하다.
- 피곤하여 한숨 잤더니 한결 머리가 가볍다.
- 관용구머리(가) 굳다
- 사고방식이나 사상 따위가 완고하다.
- 내가 너무 머리가 굳어서 그런지 젊은 너를 이해할 수가 없다.
- 관용구머리가 깨다
- 뒤떨어진 생각에서 벗어나다.
- 할아버지는 머리가 깬 분이셔서 그 시절에 어머니를 유학까지 보내셨다.
- 관용구머리가 무겁다
- 기분이 좋지 않거나 골이 띵하다.
- 신경을 많이 썼더니 머리가 무겁다.
- 관용구머리가 복잡하다
- 고민이 많다.
- 창업을 준비하는 그는 요즘 시장 조사다 자금 조달이다 입지 선정이다 머리가 복잡하다.
- 머리가 복잡해서 짜증을 낸 걸 가지고 이러면 어떻게 해?
- 관용구머리가 수그러지다
- 존경하는 마음이 일어나다.
- 그의 봉사 정신에는 절로 머리가 수그러진다.
- 관용구머리(가) 썩다
- 사고방식이나 사상 따위가 낡아서 쓰지 못하게 되다.
- 오랫동안 절에서 고시 공부만 한 나는 머리가 썩어서 사회에 적응하기가 힘들었다.
- 관용구머리가 (잘) 돌아가다
- 임기응변으로 생각이 잘 떠오르거나 미치다.
- 김 과장이 급한 일을 척척 처리하는 것을 보면 그가 머리가 잘 돌아감을 알 수 있다.
- 관용구머리 꼬리 없이
- 까닭 모를 말이나 앞뒤의 연관 관계가 없는 말을 불쑥 꺼내어 갑작스럽거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관용구머리(를) 굴리다
- 머리를 써서 해결 방안을 생각해 내다.
- 자동차가 고장이 났는데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는지 네가 좀 머리를 굴려 봐라.
- 관용구머리(를) 굽히다
- 굴복하거나 저자세를 보이다. <동의 관용구> ‘머리(를) 숙이다’
- 아쉬운 쪽이 머리를 굽히고 들어가는 법이다.
- 자기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구민식에게 머리를 굽히고 들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생각하고 있었다. ≪한승원, 해일≫
- 관용구머리(를) 긁다
- 수줍거나 무안해서 어쩔 줄 모를 때 그 어색함을 무마하려고 머리를 긁적이다.
- 그는 자기의 실수를 깨달았는지 머리를 긁으며 겸연쩍어했다.
- 관용구머리(를) 내밀다
- 어떤 자리에 모습을 나타내다.
- 회의장에 머리를 내밀다.
- 관용구머리를 돌려 세우다
- 이미 가졌던 생각을 되돌리다.
- 우선 사람들의 머리를 돌려 세웁시다. ≪백양나무, 선대≫
- 관용구머리(를) 들다
- 눌려 있거나 숨겨 온 생각·세력 따위가 겉으로 나타나다. <동의 관용구> ‘머리를 쳐들다’
- 사치 풍조가 머리를 들다.
- 은혜를 갚아야만 한다는 생각이 계속해서 머리를 들었다.
- 어느새 내 속에서는 또 기묘한 그 조바심이 머리를 들고 있었다. ≪이호철, 소시민≫
- 관용구머리(를) 맞대다
- 어떤 일을 의논하거나 결정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 대하다.
-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강구하다.
- 관용구머리(를) 모으다
- 중요한 이야기를 하기 위하여 서로 바투 모이다.
- 머리를 모으고 숙의에 숙의를 거듭하다.
- 구석 자리에 남희가 두 아가씨와 머리를 모으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 관용구머리를 빠뜨리다
- 몹시 실망하거나 낙담하다.
- 그나마 일표를 얻지 못한 노동자들은 실망을 하고 그들을 부럽게 바라보면서 머리를 빠뜨리고 돌아선다. ≪강경애, 인간문제≫
- 관용구머리(를) 식히다
- 흥분되거나 긴장된 마음을 가라앉히다.
- 교외에 나가 머리를 식히다.
- 관용구머리(를) 싸고
- 있는 힘과 마음을 다하여.
- 머리 싸고 공부하다.
- 관용구머리(를) 싸매다
- 있는 힘을 다하여 노력하다.
- 나는 머리를 싸매고 시험 준비를 했다.
- 관용구머리를 썩이다
- 어떤 일로 몹시 애를 쓰며 생각에 몰두하다. <동의 관용구> ‘골머리(를) 썩이다’
- 정치 문제에 흥미가 없는 나는 그런 문제로 머리를 썩여 본 일이 거의 없었다 하여도 가할 만큼 정신이 마비되었었다. ≪염상섭, 만세전≫
- 관용구머리(를) 쓰다
- 어떤 일에 대하여 이모저모 깊게 생각하거나 아이디어를 찾아내다.
- 그것은 조금만 머리를 쓰면 쉽게 해결될 일이다.
- 관용구머리를 쥐어짜다
- 몹시 애를 써서 궁리하다.
- 아무리 머리를 쥐어짜도 별 뾰족한 수가 나오지 않았다.
- 관용구머리를 짓누르다
- 정신적으로 강한 자극이 오다.
- 머리를 짓누르는 자책.
- 그와 이별하고 나니 머리를 짓누르는 아픔이 강하게 밀려들어 왔다.
- 관용구머리(를) 흔들다
- 강한 거부의 의사를 표현하거나 진저리를 치다.
- 남편은 내가 친구 얘기를 꺼내자 머리를 흔들며 못마땅해하는 표정을 지었다.
- 관용구머리에 녹이[쉬가] 쓸다
- 사상이 변질되어 건전하지 못하게 되다.
- 관용구머리에 맴돌다
- 분명하지 않은 생각이 계속 떠오르다.
- 그렇게도 나의 머리에 맴돌기만 하던 창문의 이미지가 문득 머리에 떠올랐다. ≪이청준, 퇴원≫
- 관용구머리에 병이 들다
- 낡은 사상이나 생활 방식에 젖어 정신적으로 건전하지 못하게 되다.
- 산만 무질서 하고 부패한 생활은…사람의 마음을 흐리게 하고 머리에 병이 들게 한다. ≪선대≫
- 관용구머리에 서리가 앉다
- 머리가 희끗희끗하게 세다. 또는 늙다.
- 머리에 서리가 앉은 어머니의 모습을 보니 가슴이 아팠다.
- 관용구머리에 쥐가 나다
- 싫고 두려운 상황에서 의욕이나 생각이 없어지다.
- 그 화가는 꼬박 13시간을 그림을 그리더니 물감만 봐도 머리에 쥐가 난다고 말했다.
- 영어를 못하는 그녀는 외국인을 만나기만 하면 머리에 쥐가 난다.
- 관용구머리에 털 나고
- 세상에 태어난 이래로.
- 나는 머리에 털 나고 지금까지 손목시계를 찬 적이 없었다.
- 관용구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 아직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 또는 나이가 어리다. <동의 관용구> ‘꼭뒤에 피도 안 마르다’ ‘이마에 피도 안 마르다’
- 저런, 머리에 피도 안 마른 녀석이 어른한테 대드는 것 좀 보게.
- 관용구머리 위에[꼭대기에] 앉다[올라앉다]
- 상대방의 생각이나 행동을 꿰뚫다.
- 적은 아군의 머리 위에 올라앉아 전술을 펼쳤다.
- 관용구머리 회전이 빠르다
- 생각이나 판단력이 분명하고 똑똑하다.
- 그는 머리 회전이 빨라 무슨 일이 벌어지면 사태 파악이 정확했고 계수에도 밝았다. ≪송기숙, 녹두 장군≫
- 속담머리 간 데 끝 간 데 없다
- 한이 없다는 말.
- 속담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
- 몸을 숨기기 위하여 머리는 구멍에 감추고 꼬리는 사타구니에 감춘다는 뜻으로, 사실을 명백히 드러내어 놓지 않고 감추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익는다
- 큰일을 하면 거기에 딸린 부분도 자연히 따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머리 우의 강권은 받아넘겨도 옆구리 인정은 물리치지 못한다
- 권력자들이 억지로 행사하려는 힘은 거역하고 물리칠 수 있어도 사람들 사이에서 다정하게 오고 가는 인정은 물리치기 어렵다는 말.
- 속담머리 위에 무쇠 두멍이 내릴 때가 멀지 않았다
- 무쇠 두멍이 머리에 떨어지면 살아날 리가 없는 것이니, 죽을 날이 멀지 않았다고 저주하여 이르는 말.
- 속담머리 큰 량반 발 큰 도적놈
- 머리가 크면 양반이라 하고 발이 크면 도적놈이라 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