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맏끼다

- 활용
- 맡기어[맏끼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
- 「001」어떤 일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담당하게 하다. ‘맡다’의 사동사.
- 신입 직원에게 홍보 업무를 맡겼다.
- 새로 온 선생님에게 3학년 담임을 맡겼다.
- 엄마는 집안 살림을 딸에게 맡기고 돈을 벌러 갔다.
- 부장 검사는 사건을 신임 검사에게 맡겼다.
- 돈 많은 사람은 변호사와 부하들에게 소송을 맡겨 놓고 자기는 골프를 치기도 하고 해외여행도 하지만….≪이병주, 행복어 사전≫
역사 정보
맛디다(15세기~18세기)>맛지다(18세기~19세기)>맛기다(18세기~19세기)>맡기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맡기다’의 옛말인 ‘맛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맛디다’는 동사 ‘-’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18세기에는 ‘맛지다’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맛지다’와 함께 ‘맛기다’ 형태도 등장하였는데, 이는 남부 방언에 보이는 ‘ㄱ’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으로 변하는 ‘ㄱ’구개음화 현상을 의식하여 ‘기’가 ‘지’로 변한 것으로 오해하고 과도 교정을 한 것이다. 현대 국어의 ‘맡기다’는 동사 ‘맡다’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표기한 것으로 ‘맛기다’와 소리는 동일하다. |
---|---|
이형태/이표기 | 맛디다, 맛지다, 맛기다, 맏기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