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서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짝을 이루거나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
서로의 행복.
서로를 사랑하다.
우리 서로가 힘을 합치면 두려울 것이 없다.
모두가 가슴이 철렁해서 서로를 돌아보고 있었다.≪송기숙, 암태도≫
다음번 간사는 다시 부여 쪽에서 자체 후보를 내지 않음으로써 서로가 공평을 기해 나간 것이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설혹 서로가 그 이상의 감정을 갖고 있다손 치더라도 그건 아무것도 아니지 않은가.≪박경리, 토지≫
서로가 나그네라서 동행은 하면서도 잔뜩 경계하고 있다.≪유주현, 대한 제국≫
승훈과 그라몽 신부는 인종과 언어의 벽을 뛰어넘어 천주 안에서 맺어진 형제애로 서로를 격려하며 이별을 아쉬워했다.≪황인경, 소설 목민심서≫
반가움에 겨운 음성과는 달리 두 사람은 얼굴을 마주하자 금시에 서로를 경계하는 듯한 자세를 취한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서르(15세기~18세기)/서(15세기~18세기)/서로(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서로’는 15세기부터 ‘서로’로 쓰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 단어는 15세기에 ‘서르’와 ‘서르’의 형태로도 쓰였는데 이 세 어형의 순서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17세기부터는 ‘셔로’도 쓰이는데 단모음화된 단어를 잘못 인식하여 원래 이중 모음이 아닌 모음을 이중 모음으로 표기하는 경향은 근대 국어 후기에 해당하므로 17세기에 쓰인 ‘셔로’는 이런 현상의 초기 예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또 다른 어형이 원래 있었던 것인지 현재로서는 판단하기 어렵다.
이형태/이표기 서르, 서, 서로, 셔로
세기별 용례
15세기 : (서르, 서로, 서)
調達이와 難陁왜 서르 실흠니 둘희 히미 거늘 ≪1447 석상 3:13ㄱ
마초 셔며 닙니피 서로 次第로 나고 ≪1459 월석 8:12ㄱ
남지 받 갈며 겨지븐 누에 츄믈 서 失業디 아니터니라 ≪1481 두시-초 3:61ㄴ
16세기 : (서르, 서로, 서)
우리 길 조차 서르 모다 벋 지 北京으로 가노라 ≪1510년대 번노 상:17ㄴ
안 中에 다시 定力으로 서로 도미 조니라 ≪1517 몽산-고 7ㄱ
서 보고 이대 이대 이 데 마즈녀 ≪1510년대 번노 하:65ㄱ
17세기 : (서르, 서로, 서, 셔로)
풍한을 만나 샤긔 서르 모다 역과 리 되니라 ≪1608 언두 상:2ㄱ
이 피와 열이 서로 이운 셔 ≪1608 언두 상:31ㄴ
비치 거무 독 긔운이 열과 서 어운디니 ≪1608 언두 상:42ㄴ
 셔로 편안히 아자 ≪1637 권념 30ㄴ
18세기 : (서르, 서로, 서, 셔로)
뎨 다듸 嫁홈을 기림이 둘히 서르 방해롭디 아니이다 ≪1721 오륜전비 3:22ㄱ
둘히 샹해 와 놀으 서로 졸아이 아니야 ≪1737 어내 2:4ㄴ
서 만나 먹디 아니코 쇽졀업시 도라가면 ≪1721 오륜전비 1:4ㄱ
 동 셔로 더브러 辛苦 고로게 니 ≪1737 여사 4:42ㄴ
19세기 : (서로)
관이 서로 화야 놀래 블러 오 ≪1832 십구 1:18ㄴ
두 사이 붓그려 서 닐러 오 ≪1832 십구 1:4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